시민문화는 복지도시 제1조건
시민문화는 복지도시 제1조건
  • 이정희
  • 승인 2020.01.07 14: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관광체육부는 지난해 말 제2차 예비문화도시 10곳을 승인했다. 전국 24개 시·군이 향토역사와 문화기반 등을 토대로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산업과 연계한 계획을 세워 문화도시 승인을 신청했다. 문체부는 이들 지역을 대상으로 심의의결을 거쳐 1년간 예비사업기회를 부여해 2021년부터 문화도시의 대열에 합류할 수 있는 10곳을 선정한 것이다.

 필자는 문체부가 발표한 결과와 선정된 도시들의 지향점이 무엇인지 궁금했다. 전국 각 시·군이 경쟁적으로 문화도시를 표방하고 있는 가운데 선정됐기 때문이다.

 이번에 예비문화도시로 선정된 지자체는 전북 완주군을 비롯해 인천 부평구, 경기 오산시, 강원 강릉시, 강원 춘천시, 충남 공주시, 전남 순천시, 경북 성주군, 경남 통영시, 제주 제주시 등 10곳이다. 마치 광역별로 한 곳씩 배분한 듯한 모양새다.

 2018년말 1차 때 예비문화도시로 승인받은 10곳 중 지난해 예비사업 추진과정 및 결과, 행·재정적 추진기반 확보, 추진 효과 및 가능성 등 종합평가에서 우수한 점수를 받은 경기 부천시, 강원 원주시, 충북 청주시, 충남 천안시, 경북 포항시, 제주 서귀포시, 부산 영도구 등 7곳이 최종 문화도시로 선정됐다. 이들 7곳은 올해부터 ‘대한민국 문화도시 시대’를 선도하는 지역으로 활약하게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문체부는 성공적인 문화도시시대 개막을 위해 올해 100억 원을 투입하고, 오는 2024년까지 5년간 도시별 특성에 따라 최대 100억 원을 추가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1차 문화도시에 전북 14개 시·군 중, 단 한 곳도 선정되지 못했다. 2차 때에는 완주군이 예비문화도시로 승인받아 ‘예도전북(藝都全北)’의 체면을 세웠다. 반면, 강원도는 1차 원주시가, 2차 강릉시와 춘천시가 각각 선정돼 전북과 큰 대조를 이뤘다.

 이 같은 결과의 원인은 무엇일까? 필자는 궁금했다. 선정된 지역들의 목표와 계획을 분석한 결과 의외로 답은 쉽게 찾을 수 있었다. 선정된 지역들의 공통점은 문화정책 수단과 목표에 있었다. 지역주민을 문화정책의 주인으로, 대상으로, 목표로 설정한 것이다.

 대한민국 문화도시 선구지역이 된 경기 부천시와 제주 서귀포시는 ‘시민들의 참여와 소통’에 방점을 찍었다. 시민이 기획하고 실현하는 시민주도형 문화도시 구축에 주력했던 것이다. 또, 강원 원주시와 충북 청주시, 충남 천안시는 일상의 문화적 활동으로부터 지역만의 특화사업을 발굴해 지역산업으로 연결하는 이른바 지속가능한 문화시스템 수립에 중점을 뒀다.

 경북 포항시와 부산 영도구는 지역 내 고유 산업유산을 활용해 문화로 확장시키는 시민참여 프로그램 개발과 철강예술축제 등을 통해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연계시켰다.

 이번 예비문화도시로 승인된 10곳 역시 시민을 문화정책 중심에 뒀다. 전북 완주군과 제주 제주시, 강원 춘천시와 강릉시, 경기 오산시는 시민주도형 문화정책을 계획으로 제시했다. 또, 충남 공주시와 전남 순천시, 경북 성주군과 경남 통영시는 지역이 간직하고 있는 지역문화를 시민사회와 결합시켜 지역특화형 문화정책을 추진계획으로 내놓아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렇듯 21세기 지속가능한 문화정책은 시민참여, 지역기반과 연계한 지속가능한 지역특화형 문화정책을 펼쳐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얼마나 향상시키느냐가 가장 중요한 포인트다. 전북도와 14개 시·군이 나아갈 문화정책의 목표가 되어야 함 역시 당면과제가 됐다. 시민이 즐겁고, 행복한 문화정책을 펼쳐 지역산업까지 활성화시킨다. 이것이 문화도시가 표방하는 핵심이 아닐까.

 이정희<전주대 평교 미술아카데미 교수/지후갤러리 관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