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이 없으면 나라도 없다 - 의병전투 (15)
호남이 없으면 나라도 없다 - 의병전투 (15)
  • 김재춘 기자
  • 승인 2020.01.10 00: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백의병 2천성민 사흘밤, 나흘낮 싸워 延安지켜
박항섭-이정암이 활약한 연안성싸움

그러나 이정암은 예외였다. 백성들이 크게 반겼고 함께 싸울것을 다짐했다.

 전쟁이 터진다고 확신한 충청도 옥천의 조헌이 한 해전인 1591년 4월에 황해도 감사 권징(權徵)과 이곳 연안부사 신각(申恪)에게 아들 종도(宗堵)편에 글을 보내 "성둘레에 호를 깊이 파고 전쟁대비를 하라"고 충고했다. 권징은 웃어버렸고 신각은 옳은 이야기라면서 성을 수리하고 둘레에 성호를 넓고 깊게 팠으며 많은 우물을 파고 그 밖에 성을 지키는데 필요한 방비와 전투용품 등을 충분히 준비해 두었었다.

 이정암은 곧 전투준비에 들어갔다. 장수들을 임명하여 부서를 정하고 의병들을 훈련하여 배치하는 한편 요소에 대포들을 장치했다. 척후를 내보내 적군의 동정을 감시하고 백성들을 시켜 호를 정비하는 한편, 성채 가까이 큰 가마솥들을 걸어 놓았으며 마른 풀을 대량으로 모아 횃불을 만들어 던질 수 있도록 준비했다. 성벽에는 각종 깃발을 꽂아 위용을 갖췄다.

 8월28일 적군이 몰려들어 성을 세겹으로 에워쌌다. 적군은 5천명쯤으로 보였다. 포위가 끝나자 성안팎에서 말싸움부터 시작됐다.

 "이 따위 작은 성에서 우리의 대군을 어떻게 당하겠냐. 나와서 항복하지 않으면 모두 베어 버리겠다"

 "너희는 兵으로 싸우나 우리는 義로 싸운다. 해보자"

 성안에서 신기전(神機箭)을 공중으로 쏘아 올렸다. 불꼬리를 물고 화살이 남산을 넘어 멀리 날아갔다. 일본병들이 신기해서 정신을 놓고 쳐다보고 있었다.

 안되겠다 싶었는지 적병 하나가 말위에 올라타고 성쪽으로 엉덩이를 까고 손으로 볼기짝을 두드렸다. 모욕을 주는 석이었다. 무사 이출이 쏜 화살이 엉덩이에 꽂히고 적병이 말에서 떨어져 고꾸라졌다. 성안에서 폭소가 터졌고 의병들의 사기가 올랐다. 뒤이어 장수인듯한 적군이 백마를 타고 백기(白旗)를 든채 성주변을 유유히 돌고 있는 것을 북문 수장(守將) 장응기가 활로 쏘아 떨어뜨리고 잽싸게 성문을 열고 나가 목을 베어 들고 돌아왔다. 의병들의 사기가 충천했다.

 곧 공방전이 시작됐으나 날이 저물었다.

 29일 아침부터 수천의 적병이 조총을 집중 난사하며 포위망을 조여들었다. 성주위를 빙둘러 파놓은 참호를 나무와 풀로 메우고 개미떼처럼 달라 붙었다. 성안에서 횃불을 일제히 던져 불태우자 개미떼 타죽듯 했다. 성벽으로 달라붙은 적병은 끓는물을 뒤집어 쓰고 튀김이 되었다. 성위에서 내리치는 돌에 맞아 머리가 깨져 나가 떨어지기도 했다.

 공방전은 하루종일 계속되었고 피비린내와 시체타는 냄세가 성 안팎을 가득 메웠다.

 밤이 되었다. 태풍이 지난 뒤의 무거운 적막이 감돌았다. 이정암은 더욱 경계를 강화했다. 과연 어둠을 타고 적병이 몰려 들었다. 성벽밑까지 달라부은 적병들에게 화살과 돌과 끓는 물, 불덩어리 세례가 퍼부어졌다.

 9월1일이 되자 목책(木柵)을 앞세우고 운제(雲梯) 비루(飛樓) 등 모든 공성자재를 총 동원, 성벽으로 달라 붙었으며 의병군 또한 백성들과 한몸이 되어 결사의 저항전을 폈다. 성안팎의 초가들에 모두 불이 붙었는데 바람이 적근 쪽으로 불어 의병군에 큰 힘이 되었다. 적군 또한 필사적으로 공격해와 성이 위기에 처하자 이정암이 화약을 깔고 앉아 독전했다. 성과 운명을 같이한다는 결의였다. 선안의 의병과 백성들이 죽을 힘을 다해 적과 싸웠다. 이날 밤늦게까지 싸움이 계속 되었다.

 2일 아침이 밝으면서 적군이 죽은 시체를 즐비하게 남겨둔채 물러가기 시작했다. 이대춘 등이 추격에 나서 적군 수레를 빼앗아 소와 말 90여마리, 군량 130여 석을 노획했다.

 사흘밤 나흘 낮에 걸친 격전 끝에 마침내 연안성을 지켜냈다.

 이정암이 조정에 보고서를 띄웠다.

 "적이 28일 성을 포위 했다가 2일 포위를 풀고 돌아갔다.(이이십팔일 위성 이이일해거以二十八日 圍城 以二日解去)"

 자신의 전공을 전혀 내세우지 않은 이 보고서에 피난 조정이 감탄했다. 선조는 이정암을 가선대부(嘉善大夫)로 올리고 황해도 도제찰사로 임명했다.

 이 싸움에는 충주목사로 있다가 申립과 함께 전사한 이종장의 17세 된 아들 희건(希建)이 참전하여 전사한 아버지의 복수전을 폈다.

 그뒤 연안성은 다음해 봄 일본군이 전면 퇴각할때까지 보전되어 충청도와 전라도 및 경상도와 의주의 피난조정을 잇는 중계역으로의 역할을 다했다.
    

 양재숙(梁在淑) 본사 수석논설위원 
  옮긴이 김재춘(金在春)
 1992년 6월3일 게재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