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심각해지는 재정난에 전북지역 사립대 ‘발 동동’
갈수록 심각해지는 재정난에 전북지역 사립대 ‘발 동동’
  • 김혜지 기자
  • 승인 2019.11.20 18: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지역 사립대학들의 수익용 기본재산이 대부분 기준액 미달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토지용 재산으로 묶여 있어 수익을 내는 데 어렵고 수년째 등록금 동결과 입학자원 감소 등의 요인까지 겹쳐 도내 사립대의 재정난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사립대에선 뾰족한 해결책을 찾지 못해 등록금 인상에 작게나마 기대를 걸고 있지만, 실현 가능성이 낮아 결국 교육의 질적 저하 등 학생들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감만 커지고 있다.

20일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도내 4년제 대학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을 보면 우석대 34.2%, 원광대 13.8%, 전주대 15.1%, 호원대 23%로 나타났다.

수익용 기본재산은 대학을 경영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수익을 목적으로 법인이 보유할 수 있는 재산이다. 등록금이 포함된 대학 운영수익총계에서 전입금, 기부금, 정부보조금 등을 제외한 금액이 기준액이 되는데 도내 사립대는 대부분 이에 절반도 못 미치는 저조한 수준이다.

도내 사립대 수익용 기본재산 유형을 보면 대부분 토지가 많은 비율을 차지해 수익을 내기 어렵거나 건물을 보유하고 있더라도 임대료 수익이 그리 큰 편이 아니다.

도내 사립대의 운영수익은 대체로 0~3%에 머물렀다. 2019년 대학이 확보한 재산 대비 운영 수익률을 보면 전주대의 경우 0.4%(181억3천892만 원 중 7천181만 원), 원광대 3.9% (244억1천274만 원 중 9억5천817만 원), 우석대 1.4%(199억9천382만 원 중 2억8천150만 원) 등으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 일부 대학은 소득보다 부담해야 할 비용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A사립대 관계자는 “대학의 재정 상황이 열악해지다 보니 교직원 인건비도 동결한 지 오래다”며 “수익은 줄고 대학에 들어가야할 비용은 많아 내부 살림에 손을 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11년째 등록금 동결, 입학금 폐지, 학생 수 감소에 따른 모집정원 감소 등으로 사립대들은 갈수록 재정난에 허덕이고 있다.

최근에는 사립대총장협의회 측에서 내년에 등록금을 인상하겠다고 선언하기도 했지만 교육부와 학부모, 학생들의 반대로 등록금 인상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게 현실이다.

문제는 대학이 재정난 극복에 실패하면 학생들의 장학금 혜택이 줄고, 교육 환경도 열악해 질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B대학 관계자는 “등록금 인상이 어렵다면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을 통해 각 대학에 지원금이 고루 지원되는 방안을 고민해봐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등록금 규제를 풀어야 하는데 교육부에선 손만 놓은 채 대학에 모든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고 말했다.

김혜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