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현대 연극을 개척한 극작가 ‘박동화’ 최명희 문학관에서 만나다
전북 현대 연극을 개척한 극작가 ‘박동화’ 최명희 문학관에서 만나다
  • 이휘빈 기자
  • 승인 2019.09.22 14: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 연극계의 큰 족적을 남긴 극작가 박동화의 족적과 업적을 기억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최명희 문학관은 오는 25일 오후 4시 작고작가세미나를 열고 ‘전북 현대 연극의 개척자, 극작가 박동화’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극작가인 전주대학교 최기우 겸임교수가 ‘영원한 글쓰기 노동자’를 주제로 박동화의 삶과 작품 세계를 말하고, 박동화의 딸이자 배우인 박의원 씨가 ‘내 아버지 박동화’를 들려준다. 더불어 ㈔동화기념사업회 유영규 대표와 전주대 류경호 교수, 전북연극협회 조민철 회장이 1961년 전북대학교에서 극단 창작극회를 창단한 후 20여 년 동안 40여 편의 작품을 창작·연출하고, 전북예총회장과 전북연극협회장 등을 역임하며 전북의 연극판을 일군 ‘60·70년대 박동화와 전주의 연극사’를 중심으로 이야기꽃을 펼친다.

 이어 전북연극배우협회 이부열 회장과 창작극회 박규현 대표, 배우 유가연 씨도 박동화의 작품 ‘망자석’과 ‘나의 독백은 끝나지 않았다’등 대표작품을 낭독한다.

 최기우 교수는 일제강점기 가난한 청년예술인 박동화가 극예술연구회·실험무대·조선연극협회·중앙무대 등에서 배우와 작가로 활동하며 일제에 저항했던 일화를 중심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최 교수는 “모국어도, 생존권도 빼앗겨 버렸던 그 길고 어두운 밤, 변절자와 비겁자와 위선자들이 자기 얼굴을 감추기 위해 스스로 암흑에 몸을 묻었을 때, 박동화는 당당하게 역사에 저항했다”면서 “일기와 문예 작품들을 일본 경찰에 압수당했고, 혹독한 고문을 겪었으며, 지속적인 연극 활동 탄압으로 그는 일제에 치가 떨리는 증오심을 갖게 됐다”고 소개했다.

 전남 영암 출신인 박동화는 1947년 군산에서 경향신문 지사장과 군산민보 편집장을 맡으며 전북과 첫 인연을 맺었고, 1956년 전북대학교 대학신문 편집국장으로 부임하며 전주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했다. 이후 전북대와 창작극회를 중심으로 전주·전북의 연극판을 일구면서 20여 년 동안 폭발하듯 작품을 발표했다. 유고집 ‘나의 독백은 끝나지 않았다’와 ‘창문을 닫아라’가 있으며, 1999년 연극인·미술인 등이 힘을 모아 전주채련공원에 그의 흉상을 건립했다.

 한편, 전주시는 지난해 소설가 이정환(1930∼1984)을 시작으로 전주독서대전에 맞춰 전주 연관 작고 작가 중 한 사람을 선정해 그의 삶과 작품을 연구하고, 그 결과를 나누는 세미나를 진행하며, 본 행사 기간 전시를 통해 작가를 소개하고 있다.

이휘빈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