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위주 현장실습은 무보수” 대학생 열정페이 해결책은?
“교육 위주 현장실습은 무보수” 대학생 열정페이 해결책은?
  • 김혜지 기자
  • 승인 2019.09.08 13: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지역 대학생들이 학기 중 또는 방학 동안 현장실습에 참여하고 있지만 대부분 실습비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열정페이 논란이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대학, 기업, 학생 간 입장차가 엇갈린 가운데 교육 당국마저도 개선 방향의 갈피를 못 잡고 있어 자칫 현장실습 제도가 무의미해질 수 있다는 우려의 시각이 제기된다.

최근 대학알리미가 발표한 ‘2019 대학생 현장실습 현황’을 보면 전북지역 대학 대부분 현장실습비를 지원하지 않은 곳이 대부분인 것으로 집계됐다.

대학별로 4주 이상 현장실습을 이수한 학생 중 현장실습 지원비를 미수령한 학생은 군산대 575명 중 429명(74.6%), 전주대 577명 중 243명(42%), 원광대 149명 중 57명(38.2%), 전북대 431명 중 84명(19.4%) 순으로 나타났다. 우석대는 이수생(205명) 모두 실습비를 지원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대의 경우 군장대 210명 중 192명(91.4%), 전주비전대 584명 중 501명(85.7%), 원광보건대 246명 중 135명(54.8%) 등으로 나타났다.

최대 기간인 세 달동안 일해도 보수를 받지 못하는 건 마찬가지다. 군산대 62명 중 27명, 원광대 158명 중 60명, 전북대 123명 중 50명, 전주대 151명 중 21명이 현장실습비가 지원되지 않았다.

군산대 김동익 LINC사업단장은 “아직 학생 신분으로 할 수 있는 일은 한계가 있고, 교육 위주의 실습이라면 업체 측에서도 인건비를 제공하는 데 부담이 있는 게 현실이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김 단장은 “현장실습 제도는 교육적 성과를 내는 게 우선적으로 중요하나 실습비 지원 문제는 학생 입장에서 고민해야 하고 보완해 나가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현재 대학들은 현장실습 제도를 운영하는 데 학과와 연계된 기업들을 직접 발굴해야 하고, 실습비 지원에 대해선 업체 입장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

대학으로선 학생들에게 실무적 경험을 제공함과 동시에 그에 마땅한 실습비를 지원하고 싶더라도 쉽지 않은 이유다.

광고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A씨는 “전라북도에는 기업이 많지도 않고, 영세하기 때문에 학생들을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실습비까지 제공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교육부도 이러한 현실을 고려해 교육 중심의 현장실습이 이뤄질 경우 기업 또는 학생과 협의를 전제로 보수 지원은 예외로 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학생들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어느 정도 근로행위를 제공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실습비 지원이 이뤄지길 바라는 입장이다.

대학생 김진우(24) 씨는 “단기간에 실무적인 일을 제대로 해내긴 어렵지만 점차 배워나가면서 일정 부분 업무를 도맡아 한다”며 “교통비, 식비조차 지원되지 않고 ‘경험’이라는 명목으로 무보수 노동을 해야 한다면 차라리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다른 과목을 선택해 학점을 따는 게 낫다”고 말했다.

이같은 입장차를 보이는 가운데 교육부는 내달 중 현장실습비 지원을 의무화하는 방향으로 개선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도내 대학들은 이를 두고 “또다시 후퇴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며 불만의 목소리를 쏟아내고 있다.

도내 한 대학 관계자는 “매번 오락가락하는 교육부 정책으로 대학들만 피해를 본다”며 “당사자들의 입장을 제대로 파악하고 세밀하게 규정을 보완해 나가야 하는데 논란 잠재우기에만 급급해 오히려 제도의 본래 취지가 무색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혜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