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위기 전통시장 극복방법 찾자
고사위기 전통시장 극복방법 찾자
  • 김장천 기자
  • 승인 2019.09.04 18: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무엇인가? <2>
추석 명절을 앞둔 4일 오후 전주 한 대형마트에는 육류 및 생선류를 사기 위한 고객들로 붐비고 있다.
추석 명절을 앞둔 4일 오후 전주 한 대형마트에는 육류 및 생선류를 사기 위한 고객들로 붐비고 있다.

 “‘전북지역 전통시장을 살리는 해법은 과연 무엇일까?’ 많은 고민을 가지는 부분이지만, 뚜렷한 해법이 존재하는 지도 의문스러운 상황입니다. 그러나 감히 제안하자면 전통시장에서 삶을 터전 마련하고 있는 상인 개개인의 마인드가 변해야 합니다. 상인간 ‘협력·소통’의 마음가짐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전북 전통시장을 살리는 해법을 서둘러야 한다. 2019년 8월 기준으로 도내 전통시장은 총 75개소다. 여기에 들어선 점포는 6,901개, 상인은 1만293명이다. 지역에 등록된 도·소매업 종사자 6만3,589명 중 16%에 해당한다. 여기에 통계에 잡히지 않는 노점상 등을 감안하면 거의 20%에 육박할 정도다. 전통시장이 지역상권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하다.

 그러나 대형마트, SSM 등에 밀려 생존권을 걱정하는 게 현실이다. 추석에 코 앞이지만 ‘대목 분위기’는 온데간데없을 정도로 썰렁하기만 하다.

 대형마트 의무휴업 제정과 청년몰·야시장 및 와글와글 시장가요제·전통시장 가맥축제 등으로 미약하지만, 회생의 조짐이 보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아쉬운 것은 그간 수없이 전통시장을 살리는 정책을 내놓고, 매년 300억원 가량의 거액을 투입했지만, 효과는 미미하다.

 전통시장의 새로운 활력소로 주목받았던 ‘청년몰’이 전북에만 전주 남부·신중앙·서부시장, 군산 공설시장 등 4곳이 운영 중에 있고, 올해 진안 고원·완주 삼례시장이 추가로 개설될 예정이다.

 그러나 전북지역의 청년몰의 명성은 예전 같지 않다. 원조격으로 전국에서 벤치마킹 대상지였던 전주남부시장 청년몰은 현재 36개 중 34곳이 운영돼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이지만, 나머지는 그렇지 못하다.

  전주 서부시장과 군산 공설시장은 40퍼센트 정도가 휴업하거나 폐업한 상태고, 전주 신중앙시장은 전체적으로 폐업하고 나서 다시 점포를 모집하고 있다.

 이에 대해 유대근 우석대 유통통상학부 교수는 “정부는 시장 당 15억원(국비 50%, 지방비 40%, 자비 10%) 가량 지원했다. 의욕으로만 살아남기 힘든 게 사업이다. 사업체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종합적인 능력이 요구되고, 상당한 경영 마인드를 키워야 하는데 이 부분에 소홀한 면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유 교수는 구조적인 문제도 언급했다. 전주 남부시장은 글로벌 명품시장으로 발전해 한옥마을 관광객의 유입 효과 등이 어우러져 있지만, 전주 서부시장이나 신중앙시장은 관광객의 유입효과를 누리기 어려운 만큼 자체적으로 지역에서 생존해야 하는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문화·예술 중심의 청년몰이 아닌 즐길거리·먹거리·볼거리를 생산하는 시장으로 거듭나 지역민이 찾고 싶어하는 곳으로 탈바꿈해야 한다는 것.

 그러면서 백종원의 ‘골목식당’을 예로 들었다. 그는 “정부는 청년몰 확장에만 노력했지 사업의 성공을 위한 관리와 감독, 지원에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 청년사업 계획이 제대로 집행되고 있는지 관심을 둬야 하고, 곧바로 성과를 독려하기보다는 시간을 두고 세심하게 지켜봐야 한다”며 “사업을 준비해서 개점하기까지 전문가를 통한 맞춤형 컨설팅에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자금을 지원했으니, 너희들이 알아서 살아봐라?’라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편의시설 문제도 제기했다. 대부분의 전통시장에 주차장 등 현대화 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여전히 지역민의 접근성을 따라가고 있지 못하고 있다. 전통시장을 찾은 고객들은 ‘원스톱 쇼핑’에 한계가 있고, 주차장을 가기 위해서는 꼬불꼬불한 길과 적치물·보행자를 뚫고 가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유 교수는 크게 4가지를 제안했다. ▲상인들의 마인드 개선을 통한 공동체 의식 ▲생산이력제·가격표시제 활성화 ▲문화적 감성과 편의성 제고 ▲정부의 대기업 변형적인 업태 진출 규제다.

 상인들의 마인드 개선은 고객에 대한 서비스이며, 상인간 협력과 소통은 공동 마케팅으로 연결돼 자연스럽게 소비자를 유인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언제까지 애향심에 호소하고, 전통시장 상품권에 연연하지 않으며, 대형매장으로 쏠리던 고객을 끌어오는 대책을 짜내야 한다.

 생산이력제·가격표시제 활성화는 고객에 대한 신뢰도 제고 차원에서 실행돼야 한다. 그 좋은 예는 로컬푸드 매장을 들 수 있다. 전통시장에서 파는 물건에 대해 소비자가 안심하고 살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가야 한다.

 유 교수는 “시장 상인 스스로의 자구력을 높이는 한편 문화적 감성과 편의성 제고도 빼놓을 수 없다”며 “더 나아가 골목상권까지 눈독을 들이고 있는 대기업의 골목상권 진출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제제조치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장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