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산업 육성, 경제독립의 주춧돌이다> 2(完) 탄소 인프라 조성, 국가가 나서야
<탄소산업 육성, 경제독립의 주춧돌이다> 2(完) 탄소 인프라 조성, 국가가 나서야
  • 설정욱 기자
  • 승인 2019.08.13 18: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의 수출규제 사태를 탄소섬유 국산화의 계기로 만들어야 한다는 여론이 커지고 있다.

미래 국가 신성장동력으로 대표되는 탄소소재 자립화는 일본의 경제 보복에 맞설 최적의 무기가 되는 것은 물론 품질 향상을 통한 수출 확대라는 새로운 전기를 맞을 수 있다는 전망이다.

특히 탄소 분야에 최적의 입지와 기반을 갖춘 전북이 최선봉장에 설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기대된다.

전북에는 전주와 완주를 중심으로 137개의 탄소 기업이 위치해 있고 종업원수만 2천357명, 매출도 2017년 기준으로 4천947억원에 달한다.

또 정읍 첨단과학산업단지에도 35개 방사선·바이오 기업이 자리잡고 있을 정도로 관련 분야가 밀집, 성장 기반이 마련돼있다.

전북도는 2006년 탄소섬유 생산시스템 구축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산업 육성정책 추진, 이후 인프라 조성 및 연구개발 등 기반구축 위주로 지원하고 있다.

2014년 탄소산업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이듬해에는 관련 조례를 전국 최초로 제정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역 자체 노력만으로는 분명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각종 규제와 예산 문제 등이 겹치면서 기대만큼의 속도를 내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메가 탄소밸리 조성 사업은 지난 2017년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지만 당초 계획보다 예산이 1/10로 줄었다.

탄소밸리국가산단 조성은 전주시에서 지난 2014년부터 추진, 현재 국토부 심의를 앞두고 있다.

지난 2016년 예타에서 경제성 논리로 발목잡히면서 시간을 허비했다.

비용편익분석(B/C)에서 기준치를 넘기기 위해 산단 규모도 줄었다.

아울러 탄소소재의 가격 경쟁력과 수요처 확보라는 과제도 안고 있다.

탄소섬유는 철보다 더 가볍고 강해 ‘꿈의 소재’로 불린다.

철이 사용되는 모든 곳을 탄소섬유가 대체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이 문제다.

이를 해결하려면 정부 R&D투자를 통한 탄소소재 산업의 체질 개선과 가격·품질 경쟁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탄소섬유는 수소연료전지의 수소탱크를 구성하는 소재인데 탄소섬유의 일본 의존도는 높다.

도레이를 비롯한 일본 기업의 글로벌 탄소섬유시장 점유율은 60%를 넘는다.

국내 기업도 2017년 기준 탄소섬유 수입량의 절반 가량을 일본에서 들여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수출규제가 확대되고 장기화되면 친환경 미래자동차인 수소연료자동차, 전기자동차 등은 일부 핵심소재 부품 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탄소섬유 생산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효성이 전주공장 증설공사를 시작, 일부 대체는 가능하지만 전기·수소차가 대중화를 앞둔 현재 탄소섬유 공급 추가 확대는 필수다.

송하진 지사는 “전북이 과학기술분야 및 R&D특화정책의 추진을 위해 요청했던 예산의 예타 면제와 함께 세계적인 흐름에 맞춘 신속한 결정이 선행돼야 한다”며 “특히 전북이 원천기술 개발과 인프라를 확대해 나가고 있는 탄소산업 부품소재 국산화를 앞당길 수 있도록 정부와 기업과 힘을 합쳐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설정욱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