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화하는 인구절벽, 대책은 뭔가
현실화하는 인구절벽, 대책은 뭔가
  • .
  • 승인 2019.07.11 15: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0년 후 전북도의 인구가 160만 명선이 붕괴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이 나왔다.
 
  저출산 고령화, 인구 유출로 인구절벽의 현실이 시시각각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전북도와 각 시군이 인구 늘리기에 안간힘을 쏟고 있지만, 현재 상태론 백약이 무효인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통계전망치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현재 182만6,717명인 전북 인구가 30년 뒤 2047년에는 158만 명으로 25만 명이 줄어든다고 한다.
 
  전북도 인구는 1965년 251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줄곧 내리막길이다.
 
  전북도가 인구감소 대응 방안을 논의한 것도 급속한 인구감소에 대한 위기의식의 반영이 아닐 수 없다.
 
  생애주기별 저출산, 청년·일자리, 고령화·중장년과 특화 분야의 농촌 활력, 다문화, 도시재생 등 다양한 인구정책을 추진했지만,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 나물에 그 반찬, 재탕 삼탕식의 인구 늘리기 정책과 홍보가 과연 어느 정도나 성과를 낼 수 있겠나.
 
  인구감소와 함께 고령화와 저출산에 따른 생산가능인구의 격감은 크나큰 사회적 난제가 아닐 수 없다.
 
  30년 뒤 전북지역 주요 경제활동 인구(29~49세)는 2017년 60만 명에서 31만 명으로 무려 47.8% 약 29만 명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생산 가능 연령(15~64세) 100명이 부양해야 하는 피부양 인구는 101.2명으로 부양자와 피부양자의 비율이 1대 1 구도가 된다. 젊은 사람들이 감당해야 할 피부양자 부담이 그만큼 커질 수밖에 없다.
 
  젊은 세대에게 짙게 드리운 출산과 육아 교육에 대한 부담과 두려움을 걷어내는 획기적인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
 
  청년층의 유출을 막고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도 시급하다.
 
  새만금에 기업들의 투자와 생산시설 가동이 본격화하면 구인 수요가 쇄도할 것이다. 청년들의 이주 방지와 더불어 전북대학교 등 지역대학에 유학 중인 외국인 학생 등 고급인력이 학업을 마친 뒤 본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전북에 정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환경과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필요하다. 지자체와 지역대학, 인구 및 출산 관련 유관기관 등의 거버넌스 구축, 인구감소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