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다양성 만점인데… 상산고 자사고 지정 부동의 가능성?
교육과정 다양성 만점인데… 상산고 자사고 지정 부동의 가능성?
  • 김혜지 기자
  • 승인 2019.07.10 18:39
  • 댓글 5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사고 취지 못살렸다는 주장 설득력 떨어져
평가 부당성 논란 해소 안돼, 교육부 부동의 가능성 커져

최근 서울지역 자사고 평가 결과가 발표된 가운데 전국 단위 모집 자사고인 하나고가 ‘교육 다양성 취지 살렸다’는 평가를 받아 기준점수(70점)을 통과해 상산고의 평가 부당성에 더욱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상산고는 교육과정 다양성 부분에서는 대체로 우수한 점수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자사고 지정 취소 결과가 나온 만큼 추후 교육부장관이 부동의할 가능성에 점쳐지고 있다.

교육과정 다양성 실천 여부는 ‘자사고 취지를 잘 살렸느냐’를 평가하는 핵심 지표인 만큼 전국 시도교육청 모두 이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같은 평가 표준안으로 평가를 실시한 결과 최근 서울 하나고는 다양한 교과과정과 인성 교육 등을 인정받았고, 상산고도 교육과정운영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재지정에 탈락했다.

세부 지표 점수를 살펴보면 ‘다양한 선택과목 편성·운영’지표에서 5점(5점 만점), 인성/진로교육 프로그램 편성·운영 2.7점(3점 만점), 기초교과 편성 비율 5점(5점 만점), 교실수업 개선 노력 정도 4점(5점 만점), 선행학습 방지 노력 3.31점(5점 만점), 프로그램별 학생 참여율 4점(5점 만점), 프로그램 내용 및 시행의 충실도 3.2점(5점 만점) 총 27점으로 우수하다는 평가를 얻었다.

결과적으로 전북도교육청이 상산고는 자사고 본래 취지인 교육과정 다양화를 실천하지 않고 있다는 주장이 맞지 않다는 근거를 보여준 셈이다.

때문에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사회통합전형 비율과 기준점수 80점이 상산고의 탈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면서 타시도와 다른 평가기준이 수용하기 어렵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서울교육청의 경우 평가 시작 전 평가 대상 자사고들과 논란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서로 조율 작업을 거친 만큼 평가지표 자체에 대한 반발은 적은 상황이다. 반면 상산고는 평가 시작 전부터 지금까지 부당 평가 논란이 해소되지 않고 있어 교육부 장관이 지정 취소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커지고 있다.

김혜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53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다양성 2019-07-11 06:37:16
재지정평가의 목적에 맞는 교육과정 다양성 하고 있는 상산고 재지정 취소는 전북교육청의 짜맞추기 평가로 볼 수 밖에 없다 좋은 학교 만들기는 어렵고 망치기는 쉽다
평가 2019-07-11 06:33:12
재지정평가의 목적에 맞는 평가가 이루어져야한다 언제부터 탈락 기준점이 80점이냐
사막의 별 2019-07-11 04:08:55
어떤 학교는 70점을 받아 자사고로 유지되고, 79.61점이란 높은 점수를 받은 상산고는 탈락하다니, 기기 막힐 일이다. 학교와 학부모들은 분노를 넘어 울분을 표출하고 있다.
상산고 탈락은 누가 봐도 형평성과 공정성, 적법성을 크게 벗어난다. 전국의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재단을 개인의 편향적인 아집으로 결정한 것은 월권을 넘어 수만 명의 선택권을 박탈하는 만행이다.
신영규 2019-07-11 04:04:16
민주주의는 다양성을 추구하며 백가쟁명의(百家爭鳴)의 사회이다. 어느 국가 어느 사회도 마찬가지지만, 특히 자본주의 사회는 부자도 있고 가난한 사람도 있다. 동시에 자본주의는 누구든 노력하면 능력에 따라서 억만장자가 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돈 있고 실력 있는 학생들이 좋은 학교에서 공부한다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이걸 서열화니, 위화감이니 하는 것은 민주주위와 자본주의를 부정하는 처사나 다름없다. 만약 이걸 부정한다면 왜, 돈 있고 권력 있는 사람들은 거액을 들여서 미국 유명 대학에 유학 보내고, 국내에서 공부 좀 하는 자사고에 가면 안 되는지 묻고 싶다.
신영규 2019-07-11 03:56:49
문재인 정부는 자사고가 고교서열화를 부추기고 일반고를 황폐화시키는 적폐로 몰고 있다. 하지만 공교육 실패 원인을 자사고 탓으로 돌리는 것은 납득하기 힘들다. 자사고가 없어진다고 망가진 일반고가 되살아나겠는가. 만약 자사고 운영에 문제가 있다면 법 테두리 내에서 고치면 된다. 또 일부에서 자사고의 연간 학비가 1천만원이 넘는 귀족학교라는 등, 돈에 의해 아이들의 우열이 결정되고 부모의 신분을 세습시키는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도 동의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