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팜 사업의 문제점과 대안은
스마트 팜 사업의 문제점과 대안은
  • 김완수 기자
  • 승인 2019.07.08 17: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마트 팜 혁신밸리는 청년들의 농업 진입을 촉진하기 위한 청년창업 보육센터와 청년 임대형 스마트팜, 연구기관과 농기업들의 정보통신기술융복합 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실증단지, 생산과 유통이 결합한 스마트 팜 등을 집적한 단지로 조성할 계획이었으나, 사업추진 당시 지역주민들과의 소통부족 등으로 현재 주민들과 갈등이 심화되면서 사업이 답보상태에 빠져있다.

완주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한 농부는“스마트 팜도 좋고 최첨단 농법도 좋지만 무엇보다도 행정당국에서도 당사자인 현지 주민들과의 대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농가를 부유하게 만들어 주겠다는 정책을 누가 반대하겠느냐, 정책를 통한 현지 주민들과의 상생할 수 있는 방법을 행정당국에서는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스마트 팜이 지닌 또 하나의 문제는 기기 상호간의 호환성이다. 그동안 농업용 ICT 기기 공급업체들은 각기 다른 규격의 센서와 제어기를 사용하고, 서로 다른 방식의 시스템 구성으로 인해 부품의 교환이나 고장 시 수리정비를 제조사가 아니면 하기 어렵고, 비용 또한 과다한 측면이 많아 농업과 ICT 융합 및 스마트 팜 보급 확산에 가장 큰 장애로 지적 되어 왔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관과 기업, 농가와 행정이 끊임없이 만나고 논의하고 새로운 발전을 기획해 실행에 옮기는 노력, 즉 클러스터별 기관 및 핵심 주체 간 네트워킹을 통한 시너지 확보와 함께 종자, 농기계, 미생물, 식품, 첨단농업의 5가지 영역을 체계적으로 연계하여 농업 전체적인 가치를 높이는 등 상생협력을 통한 성과를 극대화 시키는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또한 이해관계 당사자들의 간의 협의와 조정을 통해 공동규격(안)을 마련하고, 공청회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등 표준화 관련 기구의 심의를 거쳐 표준화하는 작업을 시급히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이상철 박사는 “농촌의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과 생산성부족, 개방화로 인한 농산물 수익 악화 등으로 더 이상 농사지을 사람이 없어 20년 후면 사라져 버릴지도 모르는 농촌사회의 심폐소생술이 바로 스마트 팜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전북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에 대해서도 편익효과로 경제성이 확보되고 지역경제 유발의 정책적 효과가 크므로 공익성 측면에서 추진해야 하나, 수익성 확보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어 운영비 등의 국비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끝)

김완수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