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원전 사고 전북 ‘패싱’, 그간 뭐했나
한빛원전 사고 전북 ‘패싱’, 그간 뭐했나
  • .
  • 승인 2019.06.25 16: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 고창과 접한 전남 영광의 한빛 원전 1호기에서 지난달 10일 발생한 열 출력 급증 사고는 결국 인재로 판명 났다. 일각에서는 “체르노빌 원전 폭발사고까지 갈 뻔했다”는 충격적인 비판까지 제기된다.

그럼에도 원자력 안전사고에 대응하는 비상 매뉴얼에는 전북이 빠져 있었다. 전북도민의 안전이 철저히 무시된 것이다. 사실상 전북 패싱이다.

원전 사고가 발생하면 방사선이 전남에만 퍼지나. 기가 찰 노릇이 아닐 수 없다. 그동안 전북도는 뭘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원자력안전위원회가 24일 발표한 ‘한빛 1호기 사건’ 특별조사 중간결과는 사실상 전형적인 인재라는 결론이다.

조사 결과 원자로 열 출력이 5%를 초과하게 되면 즉시 수동정지를 해야 하지만 즉시 정지하지 않았다. 제어봉을 한 번에 100단까지 올린 직원은 운전면허를 가진 사람이 아닌 무자격자였다. 운전원의 경험 부족, 근무 교대와 중요작업 전 회의 미실시, 새벽과 같은 취약시간대를 포함한 장시간 연속작업 실시 등의 문제점도 드러났다. 국가적으로 탈원전 정책이 추진되는 마당에 한 번 터지면 끔찍한 대형 참사로 이어질 게 뻔한 한빛 원전 운영이 총체적으로 부실했던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안전사고가 코앞에서 발생했음에도 전북에서는 정확한 상황조차 알 수 없었다는 점이다.

당시 전북도가 받은 연락은 ‘운영기술 지침서 적용에 따라 수동정지했다’는 단순 문자가 전부였다.

한빛원전 방사선 비상계획구역(반경 30㎞)에는 고창과 부안이 포함돼 있다. 면적과 인구를 비교해도 전북과 전남의 비율이 반반이다. 그 절반이 안전대책에서 누락된 것이다.

한빛원전 관련 지자체 지원금도 천양지차다. 전남은 560억 원인 반면 전북은 25억원에 불과했다. 무려 22배나 차이가 났다.

원전사고를 실시간으로 전북도민들에게 알리고 대비하도록 하는 비상조치는 말할것도 없고 지자체에 대한 지원금까지 한빛 원전 대책에서 사실상 전북은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다.

한빛 원전가동 30년이 넘도록 전북도는 이런 실상을 몰랐나. 몰랐다면 무능한 것이고 알고서도 대처하지 않았다면 직무유기가 아닐 수 없다.

지자체에 한빛원전 사고 매뉴얼의 허점과 지자체 지원 현황을 낱낱이 파헤쳐 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해 마지않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