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의 ‘지역 언론 죽이기’ 즉각 중단해야
네이버의 ‘지역 언론 죽이기’ 즉각 중단해야
  • 신영규
  • 승인 2019.06.20 16: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온라인 기반 시장 조사기관인 오픈서베이가 올 1월 조사한 검색 포털 이용 관련 설문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양대 포털사인 네이버와 다음이 검색 시장 점유율 면에서 8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중 네이버가 점유율 75.2%, 다음이 10.2%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로이터저널리즘 연구소의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18’에 따르면 한국인의 84%가 온라인으로 뉴스를 소비하고, 65%가 네이버로 뉴스를 본다고 했다.

  네이버에서 뉴스를 클릭해 들어가면 언론사 홈페이지에서 뉴스를 보여주는 방식의 ‘아웃링크’가 아닌, 포털에서 바로 뉴스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인링크’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인링크의 장점은 짧은 로딩 시간과 일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이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인링크 정책은 이용자의 체류 시간을 늘려 광고 수익을 창출해야 하는 네이버의 입장에서 보면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수익 구조의 중요한 축이다.

  네이버는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다. 네이버의 메인은 뉴스로 시작한다. 휴대폰을 가지고 있는 국민이라면 하루에 수십 번 네이버를 들락거리며 각종 뉴스를 검색·확인한다. 그런 네이버가 지역 뉴스를 철저히 외면하고 있어 지역 언론사로부터 호된 질타를 받고 있다.

  네이버 모바일의 첫 페이지에서는 지역 언론이 제공하는 지역뉴스는 아예 찾아볼 수 없다. 콘텐츠 제휴가 되어 있지 않다는 이유로 지역 언론은 뉴스 편집 첫 화면에서조차 소외된 것이다. 네이버는 지난해 ‘구독자’ 중심의 모바일 뉴스 환경을 만들겠다고 선언한 뒤 종합지, 인터넷·IT지, 방송·통신사, 경제지 등 총 44개의 언론사로 구독 채널 목록을 만들었지만, 지역신문만 쏙 빼버렸다. 한국지방신문협회·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 등 지역신문 단체와 전국 시·도의회의장협의회·전국언론노동조합·전국민주언론시민연합·한국지역언론학회가 “포털의 지역 언론 죽이기를 중단하라”고 수차례 촉구해도 네이버는 묵묵부답이다.

  네이버의 지역 언론 배제는 지역 주민의 알권리를 무시하고 침해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뉴스 소비가 포털 검색으로 이뤄지고 있는 현실에서 네이버의 지역신문 패싱은 지방분권 민주주의 정착의 걸림돌이 될 뿐 아니라 위기에 처한 지역 언론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행위이다. 무엇보다 네이버가 벌어들이는 수익의 절반이 지역주민에서 나오는데도 지역 뉴스를 외면하고 있는 것은 지역을 배신하는 행위이자, 명백한 지역 차별이다.

  한국의 뉴스 시장은 네이버를 통해 이뤄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네이버는 기자 한 명 없이 뉴스 장사 하는 포털인 셈이다. 네이버의 2017년 광고 매출은 전체 매출의 73%에 달하는 3조 3,995억원이었고, 2018년도 연간 영업이익은 9425억원, 연간 매출은 전년보다 19.4% 늘어난 5조5869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네이버 대표가 지난해 받은 총 보수는 27억7천100만원이었고, 네이버 직원 3천585명의 지난해 평균 급여는 7천706만원으로 보도됐다. 이정도면 가히 신의 직장이라고 말하고 싶다.

  지금은 전 세계 어느 나라와도 교류와 경쟁이 이뤄지는 글로벌 시대다. 교통과 통신,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물리적 거리는 더 이상 문제되지 않는다. 각국의 국민과 기업들이 세계 곳곳에서 활동하고 있고, 지구 한 귀퉁이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세계의 각 가정에 실시간으로 전달된다. 말하자면 지방과 중앙의 경계가 따로 없다. 지역이 중앙이고, 중앙이 지역인 셈이다. 지역이 잘 살아야 중앙도 잘 살고, 중앙이 잘 살아야 지역도 잘 산다. 중앙과 지역이 한 몸이다. 

  정치권에 묻는다. 뉴스 공급권을 틀어쥐고 천문학적인 수익을 올리면서도 국민 절반의 눈과 귀를 가리는 네이버의 ‘지역 언론 패싱’ 횡포를 언제까지 두고만 볼 것인가. 국회는 국회에 계류 중인 포털의 지역뉴스 의무 게재에 관한 신문법 개정안 통과를 서둘러야 할 것이다. 네이버는 지역 언론을 죽이는 행태를 즉각 중단하고, 독자들이 지역 뉴스를 구독할 수 있도록 모바일 뉴스를 포함한 모든 뉴스 배열 정책을 시정해야 할 것이다.

 신영규 도민기자

<이 사업은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