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에너지저장시스템) 잇단 화재 원인 배터리 관리·부실
ESS(에너지저장시스템) 잇단 화재 원인 배터리 관리·부실
  • 김영호 기자
  • 승인 2019.06.11 18: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배터리 관리·부실로 밝혀져
ESS화재/ KBS 뉴스 캡쳐
ESS화재/ KBS 뉴스 캡쳐

ESS(에너지저장시스템)의 잇단 화재 원인이 배터리 결함·관리 부실인 것으로 밝혀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위원회(이하 조사위)가 실시한 에너지저장장치(이하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결과를 공개하고, ESS 화재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종합안전강화대책 및 ESS 산업생태계 경쟁력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조사위는 총 23개 사고현장에 대한 조사와 자료분석, 76개 항목의 시험실증을 거쳐 조사결과를 공개했다.

분석 결과 전체 23건의 화재사고 중 14건은 충전완료 후 대기중에 발생했으며 6건은 충·방전 과정에서 일어났고 설치·시공중에도 3건이 발생한 것을 확인했다.

사고원인으로는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보호체계 미흡 등의 요인이 드러났다.

다만, 조사위는 “제조결함이 있는 배터리가 가혹한 조건에서 장기간 사용되면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화재원인을 토대로 ESS 제조·설치·운영 등 전단계의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올해 말까지 설계 시공 단계의 ESS 안전 확인 용량범위를 현행 100kW에서 1MW로 높이고 2021년까지 2MW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ESS 설치기준은 옥내설치의 경우 총 600kWh까지 용량을 제한하며 옥외설치할 경우 별도 건물 안에 설치해야 한다.

정기점검주기는 4년에서 1∼2년으로 단축할 예정이고 전기안전공사와 관련업체가 안전강화를 위한 공동점검을 실시한다.

또 소방기준도 신설해 화재대응 능력을 높이고자 종합적인 안전강화 대책도 시행된다.

전북도는 오는 7월부터 전북소방본부, 전기안전공사 등과 함께 ESS 화재 재발 방지를 위한 안전점검 및 실태조사를 벌인다.

현재 도내에는 태양광, 기타 산업용 등 모두 121개소의 ESS가 가동 중이다.

도 관계자는 “이번 화재사태로 양적 성장에 치우쳤던 ESS 산업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됐다”며 “정부의 ESS 안전 강화 제도를 기반으로 소방본부 등 유관기관과 협조체계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밝혔다.

김영호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