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 인재(人災)가 돼서는 안되는 산불
더 이상 인재(人災)가 돼서는 안되는 산불
  • 김용만
  • 승인 2019.05.21 17: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월의 산은 온통 푸르고 빽빽하다.

하루하루가 다르게 온갖 녹색의 향연이 펼쳐진다. 숲 속을 걸으면 푸른 나뭇잎의 생기로 숨이 막힐 지경이다. 차를 타고 한적한 시골길만 가도 눈이 부시고 마음이 저절로 편해진다. 숲이 우거진 산은 우리에게 위안과 여유를 선물한다.

 나무가 땔감이던 과거에 우리 산은 헐벗은 민둥산이었고 전쟁은 그나마 남은 숲을 완전히 황폐하게 만들었다. 헐벗은 산만큼이나 가난한 사람들이 그 속에서 힘겹게 살아왔다.

 정부는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경제 발전에 매진했고 더 나은 삶의 질을 위해 산림녹화도 강력히 추진했다. 덕분에 이제는 과거와 달리 어디를 가도 울창한 숲을 볼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숲의 가치는 126조 원에 달해 국민 1인당 연간 250여 만원의 경제적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숲은 산소를 엄청나게 뿜어내 공기를 정화하고 대기 중의 오염물질을 흡수하여 미세먼지를 줄이는데도 큰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울창한 숲이 봄철 산불의 불쏘시개가 되고 있다. 숲 속에 켜켜이 쌓인 소나무 잎은 잔불의 온상이 되어 진화를 어렵게 하고 쉬이 꺼지지 않는 불은 산불의 피해를 더욱 늘린다.

 기후변화로 인한 겨울 고온현상과 잦은 가뭄 역시 산불의 원인이 되고 있고 산림 주변의 개발과 주거지 확대로 귀중한 인명 피해도 늘고 있다.

지난 4월 4일에 발생한 강원도 산불은 정부의 신속 대응으로 하루만에 완전히 진화되었다. 모처럼 정부가 제대로 역할을 하여 늑장대응이니 인재(人災)니 하는 말은 쑥 들어갔다.

 그러나 짧은 기간의 산불이었지만 인명피해는 물론 재산피해도 컸다. 복구 비용도 현행 복구기준으로 얼추 2천억원 정도가 추산되었다. 숲의 가치나 정서적 상실감 같은 비경제적 가치까지 감안하면 피해를 헤아릴 수 없다.

 숲의 양면성으로 인해 정부의 산불 정책 방향도 변하고 있다. 먼저 산불의 연중화와 대형화에 대비하기 위해 산불조심 기간을 연장하고 실시간 비상근무를 실행하고 있다.

 그리고 산불 취약 지역을 미리 파악해 도면화하는 정보공유 체계를 만들고 있다. 아울러 산불 위험을 근본적으로 줄이기 위해 나무의 가지치기와 솎아베기 등의 과학적인 숲 가꾸기를 하고 있다. 산불 발생 시에는 신속 진화를 위해 특수진화대를 확대하고 공중진화헬기의 확충 및 중대형화도 추진하고 있다.

 전라북도도 봄철 산불방지와 신속 진화를 위한 대책본부를 2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운영하였다. 이 기간 동안 도내에서는 15건의 크고 작은 산불이 발생하였으나 피해면적은 1.48ha로 최근 3년 연속 전국 도 중에서 산불 발생 피해가 제일 적었다. 지속적인 예방 활동과 진화 헬기를 활용한 신속한 초동 대응으로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산불조심기간은 끝났지만 방심할 수는 없다. 지구의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고온현상과 가뭄의 일상화로 산불은 사계절 불청객이 되었기 때문이다.

 전라북도에서도 작년 6-8월 중 8건의 여름 산불과 금년 4건의 겨울 산불이 발생하였다. 산불 발생의 원인은 입산자 실화 40%, 소각 40%, 성묘객 실화 12%, 기타 7%로 대부분이 사람에 의해 일어났다.

 그러나 금년도 산불 가해자 검거는 15건 중 8건에 불과해 산불의 대한 사람들의 경각심을 높이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산불은 한번 발생하면 인명 피해는 물론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야기한다. 또한 산림이 지닌 국토보전, 수원함양, 대기정화, 야생동물 서식지 등의 기능을 약화시키는 간접 피해도 엄청나다.

  현재의 삶과 미래 후손의 터전인 자연환경 보전을 위해 모두가 책임의식을 갖고 산불 방지에 노력해야 하는 이유이다. 산불이 더 이상 인재(人災)가 되어서는 안 된다.

 전라북도 환경녹지국장 김용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