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기화재 안전지대 아니다
전북, 전기화재 안전지대 아니다
  • 설정욱 기자
  • 승인 2019.05.15 18: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 전기화재 실태와 그 위험성
먼지가 쌓여 누전으로 인한 전기화재/연합뉴스 제공
먼지가 쌓여 일어난 전기화재/연합뉴스 제공

146억원이 넘는 재산이 불에 타고 3일에 최소 한명 이상의 사상자 발생…

지난해 전북지역에서 발생한 화재의 참상이다.

담뱃불 등 부주의, 전기사고, 가스누출, 자연발화 등 그 원인도 다양했다.

화원마다 매년 증감을 반복하고 있는데 유독 전기화재만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전기안전 불감증을 경고하는 목소리가 점차 커지는 이유다.

이에 본보는 세차례에 걸쳐 전기안전 문제에 대한 실상을 집중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대책과 대응방안에는 무엇이 있는지 중점 보도한다. <편집자 주>

전국적으로 전기화재가 급증하면서 안전 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전북지역에서도 화재예방기능에 대한 설비와 점검이 열악해 자칫 대형참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5일 전북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6~2018년) 도내에서 6천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매년 2천건, 하루평균 5건이 넘는 화재로 소중한 인명·재산피해가 발생한 셈이다.

화재 원인으로는 부주의(1천9건)와 전기적 문제(417건)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기계·교통·화학·자연·가스·방화 요인과 원인 파악이 불가능한 화재는 517건을 기록했다.

부주의 화재는 담배꽁초, 불장난, 쓰레기소각, 논밭 태우기 등 인재(人災)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최근들어 불장난, 논밭 태우기 등에 대한 단속과 홍보가 강화되면서 어느정도 예방 가능한 화재로 분류된다.

반면 전기화재는 2016년 337건, 2017년 418건, 2018년 497건으로 해마다 크게 늘어나며 그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전기가 우리 생활에 꼭 필요한 요소로 여겨지면서 사용량이 증가한 결과다.

사용량이 늘어날수록 그에 대한 관리도 강화될 필요가 있지만 노후화된 전기 안전시설의 점검과 교체 등 예방책은 이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오평근 도의원은 지난 13일 제363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현재 사회 취약계층 거주 시설, 경로당과 요양원, 재래시장 등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이나 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의 전기안전 설비가 매우 열악한 상황이다”며 “도내 유치원을 비롯해 초·중·고등학교 등 교육시설도 전기안전 설비가 노후화된 데다 화재예방기능에 대한 점검이 부실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지적했다.

전기화재는 다른 원인들과 달리 24시간 언제든지 발생할 잠재적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그 장소 역시 인적이 드문 곳이나 주택 밀집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어 대형 참사로 이어질 가능성도 크다.

실제 지난달 3명의 사상자와 1천289명의 이재민, 2천832ha의 산림파괴 등 2천500억원이 넘는 피해를 남긴 강원도 산불도 전신기 개폐기에서 최초 발화가 이뤄지며 대형 산불로 번졌다.

특히 프랑스 파리 최대 관광명소 중 한 곳으로 보수 공사 중이던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지난달 15일(현지시간) 발생한 화재 원인도 전기회로 과부하로 추정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전기화재 예방 대책 마련이 더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지자체와 전기안전공사 등 유관기관이 전기안전에 대한 경계 활동을 다각도로 강화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전북도와 전북교육청, 한국전기안전공사 등이 함께 책임을 지고 전기안전 사각지대에 놓인 도내 시설에 대한 철저한 점검과 지원 확대 역시 요구된다.

마재윤 전북소방본부장은 “전기는 산업통상자원부, 건축은 건설교통부, 가스는 지식경제부에서 관련 시설 및 장비를 허가해주는 등 예방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화재 대응은 소방청이 담당하는 이원적 체제로 예방과 대응의 소관 부처가 각각 별개 형태를 띄고 있어 예방·대비·대응·복구에 있어 통합적 재난 대응에 한계가 있다”며 “전북도와 전북교육청, 한국전기안전공사 등이 함께 전기안전 사각지대에 놓인 도내 시설에 대해 철저히 점검하고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설정욱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