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茶) 마음챙김
차(茶) 마음챙김
  • 이창숙
  • 승인 2019.04.21 16: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창숙 칼럼 ‘차의 맛, 소통의 맛’<51>
ⓒTEA&PEOPLE

 이른 새벽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상쾌한 공기, 고요함 속에 들리는 것은 오로지 맑은 새 소리뿐이다. 이렇게 매일 평온한 아침을 맞이한다면 우리는 더없이 행복하다. 삶은 마음이 생각한 대로 우리를 이끈다고 한다. 즐거운 생각은 우리를 행복으로 이끌고 악한 생각은 우리를 괴로움으로 이끈다고 하니, 요즘 행복하기 위해 마음 챙김을 기반으로 한 명상프로그램이 인기를 끌고 있다. 마음챙김 명상은 바로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는 삶의 경험을 현재에 머물면서 생생하게 집중하는 것으로, 특정한 장소가 아닌 생활 속에서 모든 순간에 일어날 수 있다.

  곧 햇차가 나올 터이니 그 싱그러운 차를 마시며 마음챙김을 해보자.
 

 우선 자세를 바르게 한다. 척추를 곧추세우고 균형이 잘 맞는 자세를 취해야 한다.

 머리와 목과 등은 일직선으로 세우되 너무 뻣뻣하게 해서는 안 된다.

 편안하게 자세를 지속할 수 있도록 유지한다.

 의자에 앉아 있으면 다리를 꼬지 말고 발바닥은 바닥에 평평하게 붙여라. 이렇게 자세를 갖추고 어떤 차를 마실지 선택했다면,

 마음에서 떠오르는 행복한 기분이 있는지 알아차려 보라. 즉 그 차의 특징을 음미해본다.

 다관에 잎차를 우려 마신다면, 차를 만들기 위해 물을 준비한다. 물 끓는 소리에 집중한다.

 마음에 떠오르는 잡념이 있어 집중할 수 없다면 어떤 잡념이라도 알아차리고 받아들여라.

 끓은 물을 다관과 잔에 부어 다도구를 따뜻하게 예열한다. 적당한 양의 찻잎을 다관에 넣 는다. 물을 부어 찻잎을 우린다. 차를 마실 준비가 되었는가.

 준비가 되었다면 차를 잔에 따른다. 잔에서 온기를 느낀다.

 차를 마시기 위해 찻잔이 코에 가까워지면 향기를 느낀다.

 그리고 한 모금 마신다면 혀와 침샘에서 본능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다.

 향기와 맛을 음미한다. 입속에서 신맛, 단맛, 쓴맛, 떫은맛 등 맛과 향기를 선명하게 알도 록 집중한다. 두 모금을 마실 때도 알아차린다.

 한 모금, 또 한 모금 마실 때마다 행위가 어떻게 전개되는지 살핀다.

 좋은느낌 이든 싫은느낌 이든 모든 느낌은 타당하다. 찻잎을 우리는 시간이 적절하지 못해 차 맛이 쓰거나 떫은 감이 있어도 그것을 그대로 음미한다.

 

 차를 맛있게 우리려고 어떤 형식에 집착한다면 마음이 긴장하여 그것 또한 스트레스가 된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몸까지 어색하고 불안해진다. 차가 맛이 있든 없든 평정심으로 이 모든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일찍 만든 차와 늦게 만든 차도 구별 없이 항상 새로운 마음으로 차를 마셔야 한다.

 다성 초의(茶聖 草衣, 1786~1866)는 그와 교유했던 인사들에게 만든 차를 직접 선물했다. 그 중엔 이산중(李山中)이 있었다. 이산중이 박영보(朴永輔, 1808~1872)에게 초의차를 선물한다. 초의차를 마신 박영보는 「남다병서南茶幷序」를 통해 차를 예찬한다. 다음은 일부 내용이다.

 

  옛적에 차를 마시면 신선이 되고

  비천한 사람도 맑고 어진마음 잃지 않네

  쌍정과 일주 차는 이미 세상에 나온 지 오래되었고

  우전과 홍곡의 이름은 지금도 전해지네

  아름다운 다기에 명차를 감상하니

  중국 차의 진미는 이미 경험하였네

  우리나라에서 나는 차가 더욱더 좋아

  처음 돋은 차 싹, 여리고 향기롭다 하네.

 

 당시 사대부들 사이에 차를 마신다는 것은 때론 일상이며 일탈을 꿈꾸는 듯싶다. 한 잔의 차를 마시며 때론 신선이 됨을 상상하기도 한듯하다. 

 / 글 = 이창숙 원광대학교 초빙교수 

 ※이창숙 칼럼 ‘차의 맛, 소통의 맛’은 격주 월요일자를 통해 만나실 수 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