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혁신도시 정주여건 편리성 더욱 높여야
전북혁신도시 정주여건 편리성 더욱 높여야
  • .
  • 승인 2019.03.19 17: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혁신도시 조성사업이 시즌2를 향해 가고 있지만, 전북혁신도시는 아직도 정주 여건 탓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전북혁신도시의 각종 편익시설의 입주 현황이 기대에 못 미치면서 이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지난 2013년 말에 준공된 전북혁신도시는 벌써 준공 6년째를 맞으면서 이전 대상 12개 기관이 입주를 완료했다. 겉보기엔 기반시설 등 골격을 갖춘 듯한 모습이다.

하지만 입주민들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병원과 마트 음식점 등 각종 편의시설은 타지역 혁신도시에 비해 뒤쳐지고 있다는 것이다.

국토부가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전국의 혁신도시별 정주 여건을 분석한 결과 전주와 완주에 걸쳐 있는 전북혁신도시는 12개 기관 5천239명이 입주해 주민등록상 인구는 2만6,951명으로 집계됐다.

주민들의 생활에 필수 요소로 꼽히는 병원, 마트, 음식점 등 편의시설은 총 303개가 들어섰다. 그러나 같은 기관 수가 이전한 강원혁신도시는 기관 재직자와 주민등록 인구가 전북혁신도시보다 적지만 편의시설은 무려 511개소에 달한다.

전북혁신도시 편익시설 규모가 강원 혁신도시 규모의 60% 수준에 불과하다.

이전 기관 수는 같지만 인구 규모가 2만1천여명으로 전북보다 규모가 적은 경북혁신도시 역시 편의시설은 392개나 된다.

지난해 전북혁신도시가 행정구역상 전주시 덕진구 혁신동으로 편입되고 주민센터가 개소되는 등 행정 서비스 체계는 갖춰졌지만, 아직도 편의시설 빈곤 현상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주민센터와 치안센터 등 공공기관 배치와 달리 편의시설은 결국 민간투자가 이뤄져야만 해결될 수 있는 문제다.

수요가 있는 곳에 공급이 창출되듯 편의시설 투자가 미흡한 것은 그만큼 수요가 부족하다는 방증일 것이다.

전북혁신도시 이전기관들의 가족동반 이전율은 지난해 7월말 기준 57.3%로 전국10개 혁신도시중 3번째로 높다. 그럼에도 수요가 창출되지 못하는 것은 관련 기관들의 동반이전 등의 파급효과가 타지역에 비해 뒤지고 공연과 문화시설 등 돈과 사람이 모일 수 있는 기반시설이 취약하기 때문일 수 있다. 이런 디테일한 여건까지 이제는 편리성을 높이는 정주여건 조성이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논두렁 혁신도시라는 조롱이 더 이상 나와서는 안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