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락농정 위원회, 농업·농촌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삼락농정 위원회, 농업·농촌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 한훈 기자
  • 승인 2018.12.19 17: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선 6기 송하진 도지사와 함께 출범한 ‘삼락농정 위원회’가 4년간 1·2기 활동에 마침표를 찍었다. 삼락농정 실현을 위한 출범한 위원회는 농업·농촌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성공가능성을 검증받고 있다. 4년간의 임기 동안 위원회가 어떠한 새 역사를 쓰고 있는지 짚어본다.

▲민·관(民·官) 벽 허물어

위원회는 구상단계부터 협치 농정 시스템으로 구상됐다. 송 지사의 기존 행정에서 조직한 위원회 방식을 벗어던지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민간단체가 행정조직과 눈높이를 같이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 의지는 조직부터 반영됐다. 그간 행정에서 조직한 대부분 위원회는 당·현직으로 위원장을 행정에서 전담해 왔다. 그러나 삼락농정 위원회는 행정부지사와 전북농업인단체연합회장이 공동 위원장을 맡으면서 민·관이 눈높이를 맞췄다. 참여인원 면면히도 그렇다. 2기 위원회는 총 160명으로 구성됐다. 이중 삼락농정 실현이라는 목적에 맞게 농업인이 73명 참여했다. 그 외 소비자단체 2명과 도의원 1명, 학계 등 전문가 24명, 관계기관 21명, 공무원 20명 등으로 구성됐다. 행정의 목소리를 최소화하고 각계각층, 특히 당사자인 농업인의 의견을 중점적으로 듣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것이다.

▲상·하향식이 아닌 수평적 정책결정

위원회는 통상적으로 관례를 깨부수고 있다. 그간 행정에서는 농업·농촌과 관련, 중앙정부와 전북도, 시군에서 정책결정을 전담해 왔다. 통상 관에서는 정책결정 과정에서 소수에게 의견을 듣거나 의견을 물어왔다. 당사자들의 오롯한 목소리가 담기지 못해 왔던 게 현실이다. 위원회는 편견을 부쉈다. 2기 위원회는 10개 분과를 운영하고 있다. 위원회별로 당사자들이 필요한 사업을 직접 발굴·제한하고 있다. 그렇게 발굴된 사업들은 도정에 자연스럽게 녹아들고 있다. 2기 위원회가 발굴한 사업만 23개에 달한다. 이는 당사자인 농민이 직접 제한하고 손수 발굴한 사업들이다. 농업·농촌의 생생한 목소리들이 담긴 것이다.

▲진정성 있는 삼락농정 실현

위원회의 성과는 통계를 통해 수치화되고 있다. 로컬푸드와 관련, 개소는 2013년 9개소에서 2017년 33개소로, 같은 기간 참여농가는 3천 농가에서 8천65 농가로, 매출액은 224억 원에서 868억 원을 뛰어올랐다. 지난해 기준 6차 산업화 인증기관은 전국 최다규모인 53개소로 2위인 경북 41개소를 가볍게 따돌렸다. 같은 해 농촌체험휴양마을 방문객은 95만 9천 명, 매출액은 98억 7천800만 원을 기록했다. 지난 2013년과 비교하면 방문객 2.54배, 매출액 1.43배가 각각 늘었다. 또 각종 수상도 이어지고 있다. 올 전북도는 농촌 융복합 산업 우수사례 경진대회 대상과 현장포럼 사례발표 최우수상, 농산시책 평가 우수상 등 수많은 상장을 받기도 했다.

한훈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