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농업·농촌의 미래, 후계 청년 농업인에게 달려있다
우리 농업·농촌의 미래, 후계 청년 농업인에게 달려있다
  • 유재도
  • 승인 2018.12.16 16: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엊그제 모내기를 한 것 같은데 벌써 가을걷이가 끝났다. 추수가 끝난 들녘에는 하얀 곤포 사일리지가 쌓여 있어 이색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곤포 사일리지는 볏짚을 둘둘 말아 묶어 비닐로 완전 포장해 자연 발효시키는 것인데, 한 덩이가 소 50마리 먹이로 쓰인다고 한다. 한우 농가에게는 반드시 필요한 조사료가 되며 비싼 수입 건초의 수입대체 효과도 크다.

 지난 6월 29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통계청이 내놓은 자료 ‘2017년 귀농·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 인구가 51만6,817명으로 2016년보다 4.2%가 늘었다. 귀농·귀촌인구가 50만명을 넘어서기는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3년 이후 처음이다.

 그런데 지난해 귀농인구는 1만9,630명으로 2만559명이던 전년보다 소폭 줄었다. 농식품부는 2015년과 2016년 비교적 큰 폭으로 귀농인구 늘어 상대적으로 증가여력이 줄어든 데다 고용률 상승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여기서 주목할 부분은 귀농가구 가운데 40세 미만의 젊은 가구 비중이 10.5%로 3년 연속 증가한 점이다. 젊은 귀농·귀촌인을 지원·육성하는 일은 농업 후계인력을 확보하고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어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정책임이 틀림없다.

 이제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전환을 모색할 시점이다. 전문가들의 지적처럼 귀농·귀촌 인구를 늘리기보다 안정적인 정착여건을 조성하는 데 좀 더 집중할 필요성이 있다.

 이런 점에서 귀농·귀촌 실태조사 주기를 5년 단위에서 1년 단위로 단축하기로 한 정부의 결정은 잘 된 일이다. 정확한 실태와 현장 애로사항을 정책에 반영할 때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전환이 촉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본에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전원회귀(귀농) 열풍이 불고 있다. 일본 농림수산성이 2017년 조사한 결과 49세 이하 취농자가 2만760명으로 나타나 4년 연속 2만명을 초과했다고 일본농업신문이 보도했다. 신규 취농자는 도시에서 살다가 농촌으로 이주한 뒤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다. 일본 정부는 청년취농보조금을 조성하여 도·도·부·현이 인정하는 농과계 대학이나 선진농업법인 등에서 연수를 받는 취농 희망자에게 최장 2년 동안 연간 150만엔(약 1500만원)씩 지원하고 있는데 취농자 증가의 주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2019년 농림축산식품부 예산안을 보면 청년 후계농 육성과 스마트팜 확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청년 후계농에게 각종 장학금 지원, 영농경력과 소득요건을 만족하는 40세 미만을 대상으로 하는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사업 선발 대상자를 1,600명에서 2,000명으로 늘린 예정이다. 선발된 사람들에게는 매월 최대 100만원을 지원한다. 또 창업자금도 저리로 지원해 준다. 또한, 청년들의 스마트팜 창업과 기존 농가의 스마트 팜 확산에도 나설 계획이다.

 김병원 농협회장이 지난달 26일 밝혔듯이 정부정책이 성공하고 청년들이 농촌에 둥지를 틀 수 있도록 2019년도에 600억원을 들여 청년농부사관학교를 세워 실질적인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농협은 청년 농업인들을 대상으로 영농관련 종합컨설팅, 선도 농업인과의 멘토링, 국내 및 해외 연수비 지원, 저리 자금 지원 등 다양하게 지원을 하고 있다.

 농촌의 고령화, 이농 등으로 우리 농업과 농촌이 걱정스럽지만 젊은 농업인들이 있어 다행스럽다. 자라나는 어린이에게 우리의 미래가 달렸듯이 농업과 농촌의 미래도 후계 청년 농업인에게 달려있다. 미래 희망을 찾아가는 후계 청년 농업인들에게 국민들의 관심과 응원을 기대해 본다.

 유재도<전북농협 본부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