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대비 농업부문 중장기 대책 절실
폭염대비 농업부문 중장기 대책 절실
  • 정재근 기자
  • 승인 2018.10.09 16: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폭염 발생빈도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농업·농촌 부문도 폭염을 포함한 기상이변에 대한 중장기 대책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재난 범위 확대, 농작물(가축) 재해보험의 개선, 신속한 재난정보 전달 및 농촌지역의 응급 의료체계 구축, 대체작물 개발 및 보급 등은 국가적 차원의 지원과 노력이 필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9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6~8월의 폭염일수는 31.4일로 1994년 29.7일보다 1.7일 증가하였으며, 평년(9.8일)보다는 무려 21.6일이나 증가해 가장 더웠던 여름으로 기록됐다. 전북의 경우 경우 폭염일수가 39.3일로 전국 최고를 기록했다.

 올 여름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사망자는 48명으로 질병관리본부가 감시체계를 운영한 2011년 이후 가장 많았다. 2011~2017년 온열질환 사망자 72명 중 52%는 70세 이상 고령자였으며, 논, 밭이나 비닐하우스 등 농업현장에서 사망한 비율이 전체의 45%(34명)를 차지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폭염·가뭄으로 인해 농작물의 피해는 과수(1,445ha)가 가장 많았으며, 가축은 닭(7,291천 마리)의 피해가 가장 컸던 것으로 집계됐다.(8월29일 08시 기준).

 농업인 44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폭염으로 인해 과수, 특작, 시설원예, 노지채소 농가의 70% 이상이 ‘피해가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특작, 시설원예, 노지채소, 과수의 폐작률이 15% 이상으로 피해가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작, 과수, 축산 농가의 농작물(가축) 재해보험 가입률은 40% 이상으로 다른 작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나, 노지채소, 시설원예, 특작 농가의 가입률은 20% 미만으로 낮게 나타났다.

 응답자 대상 농업인의 82%는 TV·라디오, 재난문자 서비스를 통해 폭염주의보 및 경보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있다. 71%는 일반적인 대처방법을 알고 있으며, 48%는 폭염특보 발령 시 행동요령에 대한 교육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작과 축산 부문의 폭염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나, 과수, 시설원예, 채소, 특작 등의 폭염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나 이들 품목에 대한 폭염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밭작물에 대한 농업용수 공급, 관수시설 지원 및 밭기반정비사업의 확대 등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폭염에 대한 정보와 교육은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폭염 발생 시 건강상 문제가 있을 경우, 의료시설을 방문하거나 치료를 받는 경우가 드문 것으로 조사됐다. 폭염에 따른 농업인의 건강이상 시 대처요령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관한 교육 및 접근성 개선에 좀 더 많은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정재근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