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독서대전, ‘여순항쟁 재조명’ 주철희 박사 강연
전주독서대전, ‘여순항쟁 재조명’ 주철희 박사 강연
  • 김미진 기자
  • 승인 2018.08.29 17: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는 여순사건 70주년이다. 여순사건은 그동안 여순반란사건, 여수 14연대 반란사건, 여순봉기, 여순항쟁 등으로 불리며 제주 4.3항쟁과 함께 민족사의 비극으로 현대사에 기록됐다.

 여순사건은 대체로 1948년 전남 여수에 주둔하던 군인들이 제주 4.3사건 진압을 거부하며 일으킨 반란사건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설명은 사건의 단편적인 부분일 뿐이며 이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8.15광복 이후 좌익과 우익의 대립 속에서 벌어진 비극적인 사건으로만 이해되는 경향이 있다. 이제라도 이념투쟁이 아니라 ‘역사적 사건’의 관점에서 여순사건을 재조명할 필요가 큰 이유다.

 이와 관련, 9월 14일부터 16일까지 열리는 ‘전주독서대전’에서 여순사건 역사를 재조명하는 의미있는 특강이 열린다.

 여순사건으로 학위를 받은 주철희 박사가 지난해 펴낸 ‘동포의 학살을 거부한다-1948, 여순항쟁의 역사(흐름출판사)’를 바탕으로 9월 14일 오후 2시 전주완판본문화관에서 강연을 펼치는 것이다.

 이번 강연은 항쟁과 반란의 경계에 있는 여순사건의 비가시화된 실체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역사 기록은 대체로 승자가 남겼다. 승자의 문서로 작성된 여순사건은 왜곡된 역사의 전형이다. 가장 중요한 사건 주체가 생략되었기 때문이다. 제14연대 군인이 제주도 출동명령을 거부했던 핵심은 “동포의 학살을 거부한다”는 것이었다. 이것이 명령의 거부로 끝나지 않고 민중의 합세와 지지를 얻어 봉기로 촉발되었던 이유는 지금까지 간과되어 왔던 부분이다.

 봉기의 주체가 군인의 신분을 지녔다는 이유로 이들의 행위를 반란으로 규정하려는 시각에 대해서는 역사적 진실 측면에서의 확인이 필요해 보이는 대목이다. 여순사건은 국가폭력의 시발이 된 사건이다. 이승만 정권은 여순사건을 계기로 국가보안법을 제정하고 강력한 반공국가를 구축하였고, 결국 사건의 성격이 정확히 규명되지 못한 채 현재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주 박사는 여순사건 대신 ‘여순항쟁’이라는 어휘를 제안한다. 항쟁이라는 표기는 ‘부당하게 억압하는 것은 무엇인가’, ‘불법적 행위에 대하여 저항하는 것은 무엇인가’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그는 묻는다. 1948년 10월의 제14연대는 명령에 저항하고 출동을 거부하여 반란군이 됐다. 반면 1980년 5월, 대한민국 군인은 어떤 이의도 제기하지 않고 출동했다. 그리하여 광주에서는 피의 학살이 자행됐다. 사건 70년이 지난 2018년의 당신은 여순사건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주 박사는 ‘반란’과 ‘항쟁’의 목적이나 행위 자체에 대한 사실 검증에 집중한다. 그는 놀라울 만큼 집요한 1차 사료 발굴과 다각적인 검증으로 진실을 파헤친 그 결과물을 함께 공유하면서 여순항쟁의 실체에 접근해 본다.

 주 박사는 여순항쟁을 비롯해 국가폭력과 반공문화에 대해 집중 연구하고 있으며, 지역사 연구에 오랫동안 매진해 왔다. 또한 한국 현대사에서 소외된 부분을 찾아 과감하게 문제제기했다. 지은 책으로 ‘불량국민들’, ‘일제강점기 여수를 말한다가 있으며, 공저로 ‘주암호의 기억’, ‘인물로 본 전라도 역사이야기’등도 냈다.

 김미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