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일터 혁신은 지금부터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일터 혁신은 지금부터
  • 이민영
  • 승인 2018.07.31 15: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얼마 전 미국 Harry Hwang 박사를 만났다. 이런 저런 얘기를 하다가 미국과 한국의 근로자에 관한 얘기를 나눴다. 그는 “한국이 선진국에 진입하려면 노사 간의 신뢰회복과 기본 자세가 재정립돼야 한다”고 했다. 그는 국제변호사인 장녀에게 전화를 했을 때 “아빠. 지금은 근무시간입니다. 급하지 않는 사적인 전화는 퇴근 후에 해 주십시오.”라 한다는 것이다. 이것 하나만 봐도 미국 근로자의 일면을 알 수 있다. 한국적 정서로는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이렇듯 선진국의 몰입근무는 단 1분도 소중히 여긴다. 선진국 근로자의 일에 대한 몰입은 한국보다 강하다. 노동시간은 곧 돈(가치)이다는 개념이 확고하다. 솔직히 우리에겐 이런 개념이 희박한 것 같다. 공공기관 근무자는 더 심하다. 커피 마시기, 담배 피기, 잡담하기, 카톡 등 SNS하기, 직무와 무관한 포털검색하기, 심한 경우 게임 놀이까지 근로시간 낭비가 도를 넘는다. 사용자 측이 이 모습을 보면 임금 도둑으로 볼 것이다.  

 지난 7월 1일부터 주 52시간 적용이 근로자 300인 이상 사업체부터 시작됐다. 시행한 지 한 달이 돼 일터 현장을 모니터해 보니 아직 체감하지 못하는 것 같다. 하지만 2021년부턴 거의 모든 사업장에 적용된다. 그 때는 지금 상황과 전혀 다를 것이다. 근로시간과 시급(임금)이란 개념이 명료해질 게 뻔하다. 아마 임금에 대한 노사간 대립과 갈등이 사회문제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지금부터 사업주나 근로자가 이를 대비해 일터에 대한 혁신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주 52시간을 맞추기 위해 탄력근무, 유연근무 등이 활용되고, 근로시간 산입 문제도 노사협상으로 원만하게 조율돼야 한다. 근로자는 조금이라도 일을 더하면 추가 임금을 요구할 게 뻔하다. 사용자도 일을 하지 않은 근로자에게까지 1시간 시급을 그냥 주지 않을 것이다. 이렇게 상반된 입장이 조율되려면 지속적인 협의 밖에 없다. 노(勞)든 사(使)든 돈(임금) 앞에서 양보란 없다.  

 최근 내년도 최저임금 적용과 주 52시간 적용 문제로 논란이 많다. 이 두 가지 문제가 한꺼번에 오버랩 되어 현장의 충격이 더 크다. 하지만 이게 시대의 흐름이니 어쩔 수 없다. 2005년 주 5일제 근무가 시행될 때 많은 논란이 있었다. 하지만 지금 주5일제 근무에 대해 이의를 다는 노사는 없다. 주 52시간의 문제도 마찬가지이다. 지금 정부의 정책방향은 노동존중, 소득주도 성장이다. 최저임금과 근로시간 단축이 그 핵심일 뿐이다. 발 빠른 기업들은 이에 대해 자구책을 마련 중이다. 젊은 층은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선호한다. 기업들은 우수 인재를 붙잡기 위해 워라밸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좋은 기업은 근로자 삶의 질과 근무여건이 최우선이다. 이제 산업화시대처럼 무조건 ’참고 일하라‘,라는 얘기는 먹히지 않는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일하는 방식을 혁신하라’고 지시했다. 삼성그룹도 마찬가지이다. 대한상의는 직원들에게 ‘사내 이동 최소화’, ‘회의, 보고, 지시 자제’, ‘메신저, SNS, 전화 등 개인적인 용무 최소화’ 등을 권면했다. 허창수 GS 회장도 지난 18일 ‘모든 종사자는 일과 삶을 균형 있게 스마트한 일터로 만들자’고 호소했다. 정치권도 이 문제에 대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적극적인 반면 자유한국당 등 야권은 ‘속도 조절론’을 내세우며 다소 소극적이다. 그렇지만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일터 혁신이나 최저임금 문제는 이미 역사의 물결을 따라 진행 중이다. 따라서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일터 혁신은 당장 시작해야 한다. 노사 협의나 준비 없이 2021년을 맞이 한다면 그땐 모든 사업장에서 격랑이 일어날 것이다.

 

 논설위원 / 이민영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