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장이 일상의 공간이 될 때’
‘전시장이 일상의 공간이 될 때’
  • 채영
  • 승인 2018.06.19 16: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의 삼청동과 그 일대에 모여 있는 전시공간들을 들를 때면 관람을 위해 온 관객들과 근처의 관광객들이 뒤섞여 있는 모습을 본다. 국립현대미술관을 포함하여 사립미술관들과 문화재들, 박물관과 같은 문화시설들과 함께 상업 화랑들이 관광지를 형성한다. 동시대 미술을 볼 수 있는 전시 공간들이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모여 있다는 것은 지방의 관객 입장에서 대단히 부러운 일이다. 보고자 했던 작품이나 작가 혹은 전시 뿐 아니라 근처에 있는 다른 전시 공간들도 쉽게 둘러볼 수도 있고 전시 관람을 목적으로 오지 않더라도 약속 전후로 가볍게 전시 공간에 방문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각자 취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다양한 여가생활을 즐기는 현대인에게 미술 전시 관람을 위한 시간을 따로 소비하는 일이 자주 있는 것은 아니다. 멸종된 공룡들의 숨 막히는 추격전이나 우주를 배경으로 하는 영웅들의 전투 장면과 같은 시각적 자극에 노출되어 있는 일반 관객들이 삶의 현장이나 자연풍경의 한 장면을 전통적인 회화 재료들로 고정한 캔버스 화면을 감상하러 자주 나오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게다가 전시장에서 미술에 대한 기본지식 뿐 아니라 해당 전시에 관한 약간의 사전 정보가 필요한 경우까지 만나게 되면 미술관의 문턱은 더욱 높아 보이고 현대미술은 더욱 난해하게 보이는 악순환이 반복되기도 한다.
▲ 서울 학고재 갤러리에서 진행한 강요배 작가의 개인전 모습
  미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 지식을 먼저 쌓는 것도 물론 중요한 일이지만 그림을 감상하기 위해 전시장에 가는 일이 평범한 일상으로부터 시작되는 일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는 전시를 지나치게 가볍게 여기라는 것은 아니다. 셀카봉을 길게 빼고 인증샷을 남길 포토존을 찾아 전시장을 헤매라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전시관람을 계획하지 않더라도 우리 생활의 동선에 걸쳐있는 전시장 안으로 발걸음을 쉽게 옮길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상과 예술이 뒤섞여 구분하기 어렵게 된 가운데에도 유독 미술전시와 일반 관객 사이에 존재하는 이 거리감을 먼저 좁혀야 하기 때문이다.
▲ 서울 인디프레스에서 진행 중인 최진욱 작가의 전시 전경
   최근 서울 삼청동의 학고재 갤러리에서 진행된 강요배 작가의 개인전 <상(象)을 찾아서>와 근처 인디프레스 갤러리의 최진욱 작가가 진행 중인 개인전 <아파트 뒤편>(6/1-6/24) 전시는 눈여겨 볼만 하다. 각 전시장에는 80년대와 90년대 리얼리즘 작품 활동으로 잘 알려진 두 작가의 신작들이 전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현실을 반영하는 회화에 예술가 각자가 인식하는 삶의 모습들이 자연 풍경으로 혹은 주변의 풍경으로 화면에 담겨 있다. 전시장에는 현실 속 삶의 흔적들이 회화에 대한 작가의 태도로서 화면에 드러나 있었다. 

 어쩌면 작가들이 예술과 현실의 거리를 좁혀가며 고민한 이 결과물들과 반대로 우리는 여전히 예술과 현실을 분리시키고 있는지도 모른다. 어쩌면 전시장이라는 물리적 공간이 미술을 우리의 삶으로부터 떨어뜨리고 특별한 존재로만 보이게 만드는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그 전시장 밖의 예술과 만나거나 이 물리적 공간의 특별함을 제거할 때 미술과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다. 바로 전시장이 일상의 공간이 될 때, 그곳에서 그림과 마주하는 경험에서 시작될 것이다.

 /글=채영(공간시은 운영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