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출신 공직자 재산 공개
전북출신 공직자 재산 공개
  • 청와대=소인섭, 서울=전형남, 한훈 기자
  • 승인 2018.03.29 19: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9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공직자 재산 공개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재산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도공직자윤리위원회는 오는 6월 말까지 공개자 전원을 대상으로 재산 성실신고 여부, 부정한 방법으로 재산 증식 여부 등을 엄정하게 심사한다는 방침이다.

 도내 주요 기관·단체장과 국회의원, 청와대 비서관 등의 재산공개내역을 분석했다.

 ◆전북도 공직유관단체장, 시·군 의원

 전북지역 시·군의원 등의 재산이 평균 3천715만 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전북도공직자윤리위원회는 전북도 공직유관단체기관장 2명과 시군 의원 194명의 본인과 배우자, 본인의 직계 존비속의 재산 변동 내용을 공개했다.

전북도 공직유관단체기관장은 강신재 전북테크노파크와 고재찬 전북개발공사 사장이다. 공개대상자의 신고재산은 평균 5억 8천255만 원으로 전년도 신고재산액 평균 대비 약 3천715만 원 증가한 것으로 신고됐다. 재산은 1억 원 이상~5억 원 미만인 경우가 48%(94명)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1억 원 미만이 16.8%(33명), 20억 원 이상 보유자도 7.7%(15명)이다. 재산 증가자는 135명(68.9%), 재산 감소자는 61명(31.13%)으로 전년도 보다 재산 증가자는 7.8% 늘었고, 감소자는 7.8%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재산 증가요인은 개별공시지가, 공동주택·단독주택 공시가격, 주가 상승 등 가액 변동 요인의 상승과 급여(수입) 저축 등이다. 감소사유는 생활비·교육비 지출과 기존 신고대상의 고지거부 및 등록 제외로 말미암은 재산 감소 등으로 신고됐다. 재산을 거짓 기재하거나 중대한 과실로 누락, 직무상 알게 된 기밀을 이용해 재산을 증식한 경우 등 그 경중에 따라 경고 및 시정조치, 과태료 부과, 해임 또는 징계의결 요청 등의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재산공개대상자의 공개내용은 전북도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국회의원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29일 공개한 ‘2017년도 국회의원 재산변동사항 신고 내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으로 도내 국회의원 10명의 1년새 증가액은 평균 9,230만원에 달했다.

 의원별로는 안호영(더불어민주당 완주진안무주장수) 의원이 2억 1,321만원 늘어 가장 높은 증가액을 기록했고 문화체육관광위원장으로 활동 중인 유성엽(민주평화당 정읍고창) 의원의 재산도 2억 255만원이 증가했다.

 안 의원은 본인과 배우자, 부친 소유인 토지의 가액변동과 1억5,000만원 이상의 정치자금 잔액 증가, 완주 봉동 소재 아파트 신규 매입 등으로 재산 증가폭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유 의원 역시 1억1,000만원 가량의 후원금이 증가했고 급여 저축에 따른 예금 증가, 채무 일부 상환으로 인해 재산이 크게 증가했다.

 조배숙(민주평화당 익산시을) 의원도 본인소유 가평 소재 토지 공시지가 변동과 서울 서초동 아파트의 공시지가가 8,000만원 증가하면서 재산이 전년 대비 1억9,821만원 늘었다.

 또한 이용호(무소속 남원임실순창) 의원의 경우 배우자 소유의 주식이 전년에 비해 2억5,586만원이 올라 국회의원 주식 증가 상위 10인 안에 랭크되기도 했다. 이 의원의 2017년 기준 재산은 전년대비 1억2,547만원 늘었다.

 이와 함께 이춘석(더불어민주당 익산시갑) 의원의 재산이 7,210만원 증가한 것을 비롯해 정동영(민주평화당 전주시병) 의원 5,728만원, 김관영(바른미래당 군산) 의원 5,074만원, 정운천(바른미래당 전주시을) 의원 3,494만원, 김광수(민주평화당 전주시갑) 의원 1,318만원 순으로 재산이 늘었다.

 지난해 재산 6억 1,432만원을 신고한 김종회(민주평화당 김제부안) 의원은 전년대비 4,467만원이 줄었다. 김 의원은 도내에서 유일하게 재산이 감소한 국회의원으로 분류됐다. 김 의원은 정치자금 지출에 따른 잔액 감소와 채무발생에 따라 재산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재산 총액 면에서는 정운천 의원이 21억 6,616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조배숙 의원이 19억6,577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정 의원은 부부공동명의의 12억원대 아파트를 서울 강남구 개포동에 보유하고 있음을 신고했고 조 의원은 8억원대(서초동) 아파트와 1억원대 오피스텔(마포구) 등을 보유 중이다.

 김관영 의원은 부모의 재산 등을 포함해 17억 560만원, 이용호 의원은 16억3,569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이어 안호영 의원 12억 4, 4344만원, 정동영 의원 11억 9,745만원, 유성엽 의원 10억 9,193만원, 이춘석 의원 6억4,775만원, 김종회 의원 6억 1,432만원, 김광수 의원 2억 7,421만원 순이었다.

 ◆청와대 참모 평균 재산 15억…전북연고 ‘약진’

 29일 공개된 정기 공직자 재산신고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직후보다 5천700만 원이 늘어난 18억 8천만 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이날 관할 고위공직자 1천711명의 2018년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용을 관보를 통해 공개했다. 문 대통령을 포함한 지난해 10월 1일 기준 비서관급 이상 참모진 53명의 평균 재산은 14억 9천700만 원이다.

 문 대통령의 재산은 지난해 8월 취임 후 첫 신고 당시 18억 2천200만 원이었으나, 이번 정기재산신고에서는 예금이 4억 7천700만 원 가량 증가하고, 건물 가액이 약 3억 원 감소하는 등 전체로 약 5천700만 원이 증가했다. 예금 증가 이유는 주택 처분과 급여에 따른 것이다.

 전북에 연고가 있는 참모의 재산은 대부분 증가했다. 한병도 정무수석은 본인의 익산 단독주택과 어머니 예금 등 애초 5억 1천500만 원에서 3천만 원이 감소한 4억 8천500만 원을 신고했다. 배우자 소유의 경기도 성남 다세대주택을 실거래액보다 싼 값에 처분했다.

 조현옥 인사비서관은 어머니와 배우자, 자녀의 재산을 8억 200만 원으로 신고했는데 8천900만 원이 증가했다. 저축과 사학연금 수령에 따른 것으로 신고했다. 본인의 서울 아파트와 전세(임차)권, 배우자의 익산 소재 아파트 등이 포함됐다.

 진성준 정무비서관은 어머니의 전주 소재 아파트를 비롯해 배우자와 자녀의 재산을 함께 신고했다. 4억 800만 원으로 애초 신고 때보다 가액변동에 따라 3천500만 원이 늘었다.

 김금옥 시민사회비서관은 전주의 본인 아파트와 배우자 예금 등 1억 6천800만 원을 신고했다. 근로소득 증가 등의 이유로 400만 원이 증가했다. 부모 재산고지는 거부했다.

 김우호 인사 비서관은 타인 부양을 이유로 고지를 거부한 부모를 제외하고 부부와 자녀 재산을 8천400만 원이 증가한 13억 4천200만 원으로 신고했다. 본인의 아파트 분양권과 배우자의 전세(임차)권 등이며 변동사유로 저축 등을 들었다.

 청와대=소인섭 기자, 서울=전형남 기자, 한훈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