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산업 활성화’는 교육시스템 보완부터
‘드론산업 활성화’는 교육시스템 보완부터
  • 김창수
  • 승인 2018.03.22 17: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Drone(초경량비행장치)은 지금 전세계적으로 국가나 기업들의 최고 관심사업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과연 드론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가장 흔히 보았던 방제와 촬영에서부터 측량, 택배, 구조, 감시뿐만 아니라 최근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선보여 세계인을 놀랬던 드론쇼처럼 공연 드론에 이르기까지 그 분야는 매우 방대하다.

 2016년 1월 세계 경제 포럼인 다보스에서 처음 등장한 4차산업혁명 분야들 즉 인공지능, 로봇, 가상현실, 3D프린터,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에서도 드론은 신성장 비즈니스로 빠지지 않았다.

 2017년 8월 정부는 대통령 직속기구로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발족, 과학기술·인공지능 및 데이터 기술 등의 기반을 확보하고, 신산업·신서비스 육성 및 사회 변화 대응에 필요한 주요 정책 등을 다루면서 대한민국 미래 먹거리로 드론산업을 챙기고 있다.

 그동안 한국 경제를 주도하던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휴대폰에 이어 미래의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성장동력으로 ‘드론산업’이 주목받는 것이다.

 우리 모두가 체감하듯 자고 일어나면 드론 관련 신기술이 언론에 보도되고 있다. 드론은 최초 군사용으로 개발되어 활용되었지만, 최근에 멀티콥터형 드론이 출시되면서 현재는 취미 및 상업용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한 리서치 회사 분석에 따르면 전세계 드론시장 규모는 2017년 19조 3,400억에서 2023년 53조 300억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연평균 18.32% 성장률을 이룰 것으로 예상하였다. 국내는 군수 및 사업용 드론 제작시장은 약 2,800억원 규모이며 드론 운영, 서비스 시장은 2016년 500억원 규모로 아직 태동기이지만 2026년 약 3.9조원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2017년 11월 기준으로 최근 4년간 국내 무인기 신고 대수는 19배(193대에서 3,735대), 등록업체는 11배(131곳에서 1,459곳), 조종자증명 취득자는 71배(51명에서 3,736명)로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로 앞으로 수많은 드론이 많은 노동력을 대체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듯이 지난 1년 만에 전국에 100여 곳의 무인항공교육원이 개설되고 자격증 취득을 희망하는 문의전화가 지속하고 있으며, 지난해 드론자격증 실기시험 응시자수도 3,225명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증가했다고 한다. 특히 한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한 유명 연예인이 “7분 날리고 200만원 수익이 창출된다.”고 언급한 뒤로 교육원별로 자격증 문의전화가 5배 이상 급증하였다.

일찌감치 전라북도도 드론관련 무인기 테스트베드조성 및 ICT융합드론센터 구축사업 등을 기획하고 특히, 도내에 이전한 농진청 및 농수산대학,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등과 연계하여 농업용 드론 특화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또한 전주시는 탄소·드론·ICT 융합 신개념 레저스포츠! ‘드론축구 메카도시 전주’ 라는 슬로건으로 탄소산업과 드론축구, 청년 일자리 문제 해소를 위해 추진해 온 청년 정책의 성과를 전국 지방정부들과 공유하고 있다.

 하지만 전라북도는 체계적인 드론교육기관의 부재와 지원정책, 관련 자격취득시 원거리 이동으로 인한 불편함, 취창업 연계시스템 미비 등 아직도 드론활성화를 위한 생태계가 조성되려면 몇가지 대책이 시급하다.

 첫째, 도내 대학에 드론관련 학과 개설 및 드론특화고등학교의 설립이 필요하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아직도 없다는 것이 희한할 따름이다. 앞서 얘기했듯이 드론은 융복합산업으로서 대한민국 미래먹거리로 그 규모와 일자리 창출에 막대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몇몇 후보들이 공약으로 관련내용을 검토하고 있어 다행이긴 하나 실현여부는 불투명하다.

 둘째, 도내에 드론국가자격증인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격 필기시험장의 설치가 시급하다. 현재 서울, 대전, 광주, 부산 등 교통안전공단지사 4곳에서 시행되고 있으나 응시하려면 최소 3개월에서 5개월을 기다려야 하며 한 시간도 채 못 되는 시험을 치르기 위해 하루 시간과 교통비를 감내해야 하는 등 전북도민들의 불편함은 소외감을 넘어 차별감마저 들게 한다. 다행히 실기시험의 경우 이번 달부터 매주 전주월드컵경기장 보조경기장이 초경량비행장치 상시실기시험장으로 지정되어 불편함을 일부 덜었다.

 셋째, 만만치 않은 드론국가자격증 취득 비용의 지원정책이 시급하다. 몇몇 지자체에서 교육비를 보조금 형태로 일부 지원되고 있으나 그 규모와 지원대상 범위가 턱없이 부족하다. 취약계층 지원프로그램뿐만이 아니라 재직자, 퇴직자 및 청소년의 진학, 진로 특히 취창업과 연계하여 다양한 지원프로그램 운영이 시급하다.

 서말의 구슬도 꿰어야 보배이다.

 전라북도에는 이미 수십 개의 드론관련 업체들이 생겨났고, 타 시도로부터 이전해 왔다. 시작점은 엇비슷하다. 지금부터라도 역점적으로 드론교육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붐을 일으켜 4차산업혁명의 선도지역으로 육성해 나간다면 드론은 떠나고 싶은 전라북도가 아닌, 살고 싶은 전라북도가 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필자는 확신한다. 마지막으로 드론산업의 미래 비전이 계획성 있게 추진되도록 행정과 도민들의 관심이 모아지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김창수<전북무인항공교육원 대표> 

 약력 ▲국토부 (사)한국무인기안전협회 이사·전북지회장 ▲한국교통안전공단 초경량비행장치 멀티콥터 실기평가조종자·항공방제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