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에 대해 한마디
‘일자리’에 대해 한마디
  • 윤석
  • 승인 2018.03.18 16: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젊은 직장인에게 한마디 하겠다. 기업 인사담당자로서 말이다. 직장을 적당히 시간 때우고 월급 받아가는 곳으로 생각하지 말아 달라. 크건 작건, 경영자들은 감당 못할 위험을 매순간 짊어지고 있다. 회사의 성장, 국가발전을 위해서다. 어떻게 하면 매출을 늘릴까, 이익을 재투자해 더 큰 수익을 낼까, 종일 고민한다. 결국, 직원을 위한 노력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직원도 사측 고민에 적극 동참해야 하지 않는가. 인지상정을 안다면 말이다. 왜 혼신을 다해 몸담는 조직발전에 힘쓰지 않고, 회사와 같은 꿈을 꾸지 않는 걸까. 왜 회사를 자아실현의 일시적 도구로만 생각할까. 근로자가 바뀌지 않으면, 경영자와 근로자는 늘 소통불가일 수밖에. 종종 뉴스 속에서 노조와 사측이 고집 피우며 극한 대립하는 모습을 보면 숨이 막힐 지경이다. 이러다가 어느 날 한국 중소기업이 도미노처럼 모조리 쓰러지는 게 아닌가 싶다.

 이번엔 경영자에게 한마디 하겠다. 기업 인사노무관리 담당자로서 말이다. 제발 직원들을 회사 소모품으로 보지 말아 달라. 다들 목표가 있고, 그걸 이루고자 인생 대부분을 노력한 분들이다. 그 꿈의 무게는 경영자가 꾸는 꿈의 무게와 다르지 않다. 본인이 아닌, 사장님의 부를 축적해주려고 아침마다 따뜻한 침대를 박차고 나오는 근로자들의 용기에 감사함을 느껴 달라. 왜 그것 밖에 못하느냐고 닦달하지 마라. 직원들이 왜, 누구 좋으라고 그것 이상의 일을 해야 한단 말인가. 누구든 받는 만큼 준다. 기브앤테이크 원칙, 이 역시 인지상정이다. 직원을 진짜 내 가족이라고 생각한 적이 있는가? 그렇다면 회사가 잘 됐을 때 직원들에게 지분을 나눠줄 수 있는 배포가 있는가? 두 질문에 대답 못하겠다면, 직원들에게 가족이라고 말하며 부담주지 말라. 내 회사처럼 생각하라고 직원들에게 강요 말라. 일하려고 만났는데 어떻게 식구가 될 수 있으며, 내 것이 아닌데 어떻게 주인의식을 가질 수 있단 말인가. 누가 그 방법을 안다면 공개해 달라. 노벨 경제학상 감이다.

 지금까지 한 말은, 기업 중간관리자로서 여러 기업 노사 구성원들을 만나며 들은 것들을 과장을 조금 보태 정리해본 것이다. 물론 실제로는 훌륭한 기업도 많지만, 소득세 내본 시민이라면 노사 구분없이 대체로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라 생각한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공감에서 끝나야 한다. 경영자는 인재를 아껴야 한다, 근로자는 기업에 충성해야 한다, 따위의 ‘당위’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 이는 과거 경제호황기에, 먹거리가 풍부해 기업과 근로자 모두가 윈윈하던 시대에 통하던 노동윤리와 기업철학이다. 요즘 같은 경제성장 정체기에 들이대는 건 곤란하다. 강퍅한 시대다. 경영자나 근로자 개인의 노력으로 일터가 즐거워지는 건 더는 어려워졌다. 결국, 개체가 아닌 환경이 문제다. 개인에게 인식전환을 강요할 일이 아니다.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

 정부에도 한마디 하는 이유다. 먼저 청년들을 위해 ‘괜찮은 일터’를 마련하겠다는 의지를 적극적으로 드러내 줘 반갑다. 최우선 국정과제라니, 기업 인사 담당자로서 인재 채용이 한결 수월해질 것 같은 기대감이 든다. 정부가 올해 4조원대 일자리 추경을 결정한 것도 환영이다. 하지만, 들뜬 분위기에 비해 구체적 방향성은 불명확하다. 지난해 정부가 양질의 일자리와, 공공부문 일자리를 늘리겠다고 11조원을 투입했다. 그 돈, 다 어디 갔는가. 돈 대부분이 노년층 단기아르바이트 직을 만드는 데 쓰였다는 분석이 사실이라면 안타깝다.

 예산은 편성 프레임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적확한 곳에 제대로 전달되는가도 중요하다. 전체 일자리 팔할은 영리기업에서 만들어 내고, 영리기업 팔할은 중소기업이다. 지난해 통계청 분석이다. 따라서 중소기업이 즐거운 일터가 되지 않는다면, 한국 청년들은 즐겁게 일할 수 없다. 논리적으로 그렇다. 현실적으로도 반박할 수 없는 정언명제다. 공공부문 일자리나, 돈 많이 주는 파트타임직이 늘어나 긍정적인 점도 있을 테다. 하지만 ‘괜찮은 중소기업’과 ‘젊은 근로자’가 서로 좋아 뿜어내는 시너지와 비교할 바는 못 된다. 답은 나와 있다. 정부지원으로 중소기업 근로여건이 획기적으로 좋아져야 한다. 청년들은 그 중소기업에 입사해 일을 해야 한다. 정부 일자리 정책과 예산 지원 방향은 바로 이 지점을 향해야 할 일이다.

 윤석<삼부종합건설 기조실장> 

 약력 ▲성균관대 법학과 졸업 ▲국회의원 김윤덕 정책비서 ▲건설경제신문 정경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