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신산업생태계 ‘새만금이 답이다’
전북 신산업생태계 ‘새만금이 답이다’
  • 설정욱 기자
  • 승인 2018.02.21 18: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Post 지엠’을 대체할 新산업생태계 조성은 결국 새만금사업 조속 추진으로 집중되는 분위기다.

전북의 앵커 산업이던 군산조선소와 한국지엠 군산공장이 모두 난파 위기에 처하면서 충격에 휩싸인 지역 경제와 민심을 반등시키기 위해선 혁신적·구체적 돌파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하지만 군산 수출의 42.7%를 점유하고 1만 3000명의 일자리를 담당해왔던 지엠 군산공장을 대체할 해법은 지자체 능력 밖이다.

결국 칼자루는 정부가 쥐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정부는 끝없이 추락하는 전북을 위한 배려에 나설 때다. 새로운 산업생태계를 조성해 미래에 대한 희망을 전달해야 한다”는 바람을 내비쳤다.

현재로서는 새만금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30여 년간 새만금 지역은 전체 부지의 12.1%만 완료됐다. 이 마저도 대부분 농지에 불과하다.

새만금 기본계획(MP)상 45%가 마무리됐어야지만 1/4 수준에 머물며 진척이 더딘 셈이다.

그동안 이른바 ‘찔끔 예산’과 정부의 ‘무관심’ 속에 방치된 결과다.

올해 최고치인 8947억 원의 예산을 확보했지만 기존 MP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면 그 이상의 예산이 필요하다.

생산유발 효과 49조 4052억원에 달하는 새만금을 공공주도로 용지를 매립·조성할 경우 38만 5000여 명의 직·간접적인 취업유발 효과가 발생한다. 특히 새만금 관련 공사는 ‘새만금사업 지역기업 우대기준’이 적용돼 수주난을 겪는 도내 업체와 일자리 창출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새만금지역에 다른 개발사업과 차별화된 개발 콘셉트 및 전략을 세워 ‘글로벌 스마트 수변도시’ 조성 등 새로운 사업을 채워넣는다면 지엠 군산공장 폐쇄 충격파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물론 국가예산 한도가 정해져 있어 일방적인 지원을 요구할 순 없지만 지역경제 파장을 감안하면 예산 투입 명분은 충분하다는 게 정치권의 중론이다. 아울러 전북지역을 미래 신산업 메카로 육성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날 송하진 지사가 기재부와 행안부를 방문해 긴밀히 요구한 사안 역시 전기상용차 자율주행기반 전진기지 조성과 ICT융복합 스마트·자율운항선박 심층센터 구축사업, 새만금국제공항 조기건설, 새만금 복합레저타운 건설 등 미래 신산업 육성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군산지역의 고통을 새로운 미래 희망으로 조금이나마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한국지엠 군산공장 회생 노력과 더불어 미래산업 플랜을 통한 고용 안정성(대책)이 그 어느때보다 절실하다”고 말했다.

설정욱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