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변형물체 안전 검정팀 가동 ‘왜?’
유전자변형물체 안전 검정팀 가동 ‘왜?’
  • 한훈 기자
  • 승인 2018.02.20 18: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상적인 유전자원과 LMO 유전자원이 혼익되거나 유입됐을 가능성은
▲ 전북도민일보DB
국내 농업유전자원의 집합소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이 대규모 ‘LMO(유전자변형물체) 안전성 검정팀’을 가동해 뒷배경에 각종 추측이 제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정상적인 유전자원과 LMO 유전자원이 혼익되거나 유입된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제기돼 철저한 진상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0일 농촌진흥청 등에 따르면 국립농업과학원 생물안전성과를 주 축으로 LMO 안전성 검정팀을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구성,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은 연구직 2명과 공무직 19명 등 총 21명으로 구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과학원의 전체 근무인원과 가용인력 등을 감안하면, 대규모 인력을 무리하게 장시간 투입하고 있는 셈이다. 검정팀은 과학원이 보유한 식물자원을 대상으로 PCR(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 검사를 통해 과학원이 보유한 식물자원의 유전자형을 분석·확인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정팀은 지난해 전국적으로 논란이 된 GMO 작물인 유채와 목화를 시작으로 과학원이 보유한 식물자원 전체에 대해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검사는 목화와 유채를 시작으로 국제적으로 LMO가 재배되고 있는 전체 식물작물로 확대된 실정이다.

 국제적으로 LMO 작물들을 고려하면, 사실상 전체 식물자원에 대한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대해 농촌진흥청 내부에서조차 LMO 또는 GMO 작물이 혼익되거나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비정상적으로 많은 인력과 시간을 검사과정에 장시간 투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과학원은 우리나라 식물자원을 전국에 보급하고 있다. 현재 과학원이 보유한 식물자원만 27만5천102자원에 달한다. 이 자원은 전국에 대학교와 연구소, 지방기관 등에 보급되고 있다. LMO와 GMO 작물이 혼익되거나 유입됐으면 파장이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LMO 작물이 종자용으로 사용돼 땅에 심어지면 생식 또는 번식이 가능해 생태계 교란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 농촌진흥청은 식량자원에 대해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GMO와 LMO 작물들이 지속적으로 논란이 제기됐고, 이를 완전히 해소하기 위해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농업진흥청 관계자는 "LMO 작물의 유전자가 유입될 가능성이 없다"면서 "전국적으로 논란이 된 만큼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전수조사를 진행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훈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