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밀림 현상 방치, 산사태 위험 도사려
땅밀림 현상 방치, 산사태 위험 도사려
  • 김민수 기자
  • 승인 2017.12.17 13: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완주군 봉동읍 내 25ha 규모의 산지가 땅밀림 현상으로 신음하고 있지만 20년이 넘도록 방치돼 있어 집중호우시 산사태 등 대규모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최근 발생한 포항 지진으로 땅밀림에 대한 위험성이 커진 상황에서 완주군 지역이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로 파악돼 복구공사는 물론 주민 경보체계 구축 등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황주홍 의원(국민의당)이 최근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984년 충남 논산시 연무읍 황하정리 0.3ha의 산에서 땅밀림이 발생한 이후 올해까지 전국 28개소에서 땅밀림이 발생했고, 이 중 23개소는 땅밀림이 복구됐으나, 전북 완주(1995년 발생), 강원 정선(2010년 발생), 경남 합천(2012년 발생), 경남 하동(2015년 발생), 경북 울진(2016년 발생) 등 5개소는 아직도 복구되지 않은 채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땅밀림’ 현상은 땅속 깊은 곳의 토양이 서서히 이동하는 현상으로 산사태와 땅꺼짐 등 다양한 형태의 지형 변화와 위험이 도사릴 수 있다.

땅밀림 발생 피해 면적 기준으로는 완주군이 25ha로 가장 피해가 컸으며, 경북 울진군이 20ha, 충북 단양이 10.6ha였다. 그 이외 지역은 3ha 이하가 20개소로 대부분이었다. 전북 지역의 위험성이 그만큼 크다는 증거로 빠른 복구공사가 필요한 이유다.

경북 포항 지진을 통해 땅밀림 현상이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모르는 대형 인재로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철저한 예방이 필요하지만 땅밀림에 대한 주민 경보체계도 부실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포항 지진이 발생한 지난달 15일, 산림청은 땅밀림 계측정보 분석 내용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상황실에 보고했지만 지자체의 대처는 몇 시간 뒤 가정 방문을 통한 대피장소 이동이 전부인 것으로 파악됐다.

땅밀림에 대한 경보체계가 원시적이라는 것이 더 큰 충격으로 아직 2개소(포항과 하동)밖에 설치하지 못한 땅밀림 계측기를 전국의 나머지 26개소에 설치하고 땅밀림 계측 시 주민들에게 바로 알리는 시스템을 시급히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황 의원은 “정부는 이들 땅밀림 지역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긴급 대책을 마련할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도 땅밀림 피해에 대한 조사 및 대책 마련도 서둘러야 할 것이다”고 밝힌 후 “지진 관련 대책 예산에 이러한 땅밀림 복구공사와 경보체계 구축 및 전국 땅밀림 조사 등을 위한 예산을 여야 공통 정책 예산으로 편성해 지원함으로써 땅밀림에 의한 산사태 피해를 예방하도록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민수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