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국립인류학박물관에서 마주한 인류와 문명
멕시코 국립인류학박물관에서 마주한 인류와 문명
  • 김미진 기자
  • 승인 2017.10.24 17: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형유산을 전북 보고로 만들자 <5>
멕시코 국립인류학박물관 입구
 멕시코는 유무형의 위대한 문화유산을 많이 보유한 국가에 손꼽힌다. 광활한 영토에 다양하게 분포되어있는 자연 생태계는 물론 아스텍과 마야 문명으로 대표되는 인류학과 고고학적 가치가 매우 높은 유적지들도 산재한 땅. 스페인이 멕시코를 중심으로 ‘누에바 에스파냐’라는 부왕령을 창설하고 식민지배에 들어갔던 때 건축된 교회와 수도원 등의 문화유산도 풍부해 각 도시마다 매우 독특한 이미지를 뽐내고 있다. 라틴아메리카 중에서 가장 많은 고대와 중세의 문화유적을 보유해 유네스코 지정 세계유산의 보유 실적 또한 세계 10위 안에 들고 있어 이에 대한 자부심도 높다. 여기에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한 후, 유무형의 위대한 유산을 보호하고 계승하기 위한 국가적 관심은 실로 대단했다. 그 중에서도 멕시코시티에 있는 국립인류학박물관은 이러한 국가적인 움직임의 결정체라고 볼 수 있다. 기자는 9월 11일부터 20일까지(멕시코 현지시간) 멕시코의 유무형의 유산을 취재하는 중에 국립인류학박물관도 찾았다. 세계적인 명성의 인류학박물관에서 현재도 유무형의 가치를 찾기 위한 작업들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모습을 마주했다. <편집자주> 

 그동안 국내에 소개된 국립인류학박물관의 모습은 스페인 통치 이전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압도적인 양과 스케일의 소장품이다.

▲ 멕시코 국립인류학박물관
 실제로 넓은 2층 건물 소장된 유물이 약 60만 점에 이른다. 1층과 2층의 전시실을 모두 돌면 약 5km에 이르는 거리라 하루 종일 시간을 투자한다고 해도 제대로 둘러보는 일은 쉽지 않은 과제였다.

 그중에서도 올멕 문화의 걸작인 ‘군상(Group of Figures)’과 세계사를 대변하는 아스텍 문화의 유적이자 멕시코의 상징인 22t짜리 ‘태양의 돌(Sun Stone)’은 소문만큼이나 압도적이었다.

 박물관 1층이 고전시대, 테오티와칸, 마야, 톨텍 등의 문명에서 발굴된 뛰어난 유물을 모아 놓은 전시실이라면, 2층에는 지금도 멕시코 전역에 살고 있는 인디언, 그 후예인 토착민 집단의 민족학(Etnografia)을 다루고 있다.

▲ 멕시코 국립인류학박물관에 전시 중인 아스텍 문화를 상징하는 '태양의 돌'
 박물관에서 가장 인기 있는 유물인 ‘태양의 돌’에 넋을 잃고 있던 시간도 잠시, 멕시코가 품고 있는 무형의 유산에 한 걸음 더 들어가기 위해 서둘러 2층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지방별, 부족별로 각 원주민의 관습이나 풍습, 민속 등을 다양한 형태로 접근한 탄탄한 구성의 기획전은 멕시코인들의 살가운 온기를 전하기 충분했다.

 국립인류학박물관에서 인디언 원주민들이 과거와 현재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탐색하고, 연구해오고 있다.

 박물관 소속 연구자 50여 명 중에서 인디언에 대한 연구에 집중하고 있는 연구자는 11명이나 된다.

 이들 연구자는 각자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인디언 그룹에 대한 연구에서부터 인디언의 수공예품, 삶, 의식 등 각자 매우 구체적이면서도 세분화된 내용들로 연구에 몰입하고 있다.

▲ 국립인류학박물관 수장고에서 발레리아 레센디즈 부연구원이 인디언 유물의 보존과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다.
 발레리아 레센디즈(Valeria Resendiz) 부연구원은 개인적으로 스페인 정복 이전과 이후, 인디언 여성과 스페인 여성들에 대해서 연구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남편을 떠나보낸 스페인의 부인들이 보낸 편지, 그리고 후에 입국하게 되는 과정이나 스페인 정복자들이 멕시코에서 새롭게 꾸린 가정의 모습 등까지도 연구 과제의 범위로 잡고 있었다.

 이처럼 박물관 내 연구자들의 연구 방식은 매우 폭넓기도 했고, 특별해 보였다. 그 결과물을 바탕으로 또 다른 연구의 주제를 잡아가고, 결과물을 전시하고, 발표하는 등의 과정을 통해 축적된 자료들 또한 어마어마했다.

 아르투로 고메즈 마르티네스(Arturo Gomez Martinez) 연구원은 “인디언 연구도 하면할수록 세밀해진다”며 “이를 테면 64개 마을에 원주민 부족이 있고 이를 언어로 나누다 보면 150여개에 이른다”고 인디언의 언어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그는 “그 중에서도 아즈텍 언어인 나우아뜰(nahuatl)이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지만, 오토미족(Otomi)은 약 50만 명 정도가 부족을 이루며 살고 있는데 그 안에 2~3명만 오토미족 안의 또 다른 언어를 쓰는 경우도 있다”고 덧붙였다.

 장장 400여년에 이르는 식민지를 거치면서도 언어와 문화, 풍습 등을 잃지 않았고, 새로운 문명을 받아들이면서 변화된 문화와 문명까지도 품에 안았던 멕시코 원주민들. 그들이 존재했기에 현재도 뿌리깊은 무형유산들도 탄탄하게 자리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 국립인류학박물관 수장고에서 인디언의 직물을 살펴보고 공부하고 있는 대학생들 모습
 통제구역을 거쳐 박물관 지하에 위치한 인디언 유물 수장고로 안내를 받았다.

 그 곳에서는 문명의 소용돌이 속에 살았던 그들의 후예들이 멕시코의 뿌리를 찾아가는데 열정을 쏟고 있었다. 인디언 연구자들은 삼삼오오 자리에 모이면 그동안의 연구 내용에 대해 이야기꽃을 피우느라 바쁜 모습이었다. 연구자들이 구입하거나 기증받아온 인디언 유물들을 분류하는 작업이 한창이 자원봉사자들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또 한 켠에서는 인디언의 직물을 진지하게 살펴보고 있는 대학생들도 만날 수 있었다. 그렇게 박물관은 살아 숨 쉬고 있었다.

 멕시코 멕시코시티 = 김미진 기자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 받았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