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윤봉 교수, 차세대 태양전지 제조 기술 개발
한윤봉 교수, 차세대 태양전지 제조 기술 개발
  • 김혜지 기자
  • 승인 2017.10.17 16: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대학교 한윤봉 교수(공대 화학공학부)와 왕유셍 박사과정생이 차세대 태양전지로 각광받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태양전지를 나노복합소재와 계면공학 기술을 적용해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세계 학계 주목을 받았다.

이 기술을 적용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기존과 달리 공기에 노출됐을 때 안정성이 매우 좋고, 소자 성능이 좋아 수명 역시 기존 태양 전지보다 길다는 장점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 교수팀의 기술은 에너지 분야 세계적 학술지인 ‘Nano Energy’ (IF=12.343)에 게재됐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높은 광 흡수율, 큰 전하 확산계수, 우수한 전하이동 능력 등으로 인해 발전효율이 높으며 저가 대량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실용화를 연구가 경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보고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공기에 노출됐을 때 전자 수송층(태양광에 의해 광흡수층의 엑시톤이 전하와 정공으로 분리되어 생성된 전자가 전극쪽으로 이동해 전류를 생성해주는 층)의 광촉매 현상과 수분에 의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의 분해로 인해 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한 교수팀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산화니켈(NiO) 나노입자와 페로브스카이트를 하이브리드한 나노복합소재를 처음으로 개발해 그 결과를 지난해 ‘Nano Energy’에 게재한 바 있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나노복합소재와 계면공학 기술을 적용하여 모든 공정을 용액상태로 대기 중에서 진행하여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제조한 것이다. 그 결과, 20일 후면 소자가 안정화되며 210일 이상 지나도 태양전지 성능이 90퍼센트 이상 유지되는 성과를 얻었다.

한 교수는 “이번 연구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실용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문제점들을 개선한 것이다”며 “저렴한 가격으로 성능이 좋은 태양전지를 상용화하는 데 한 걸음 다가선 연구로 의미를 갖는다”고 밝혔다.

김혜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