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백제 왕성·도성 시굴 및 발굴조사 본격화
후백제 왕성·도성 시굴 및 발굴조사 본격화
  • 김경섭 기자
  • 승인 2017.10.15 14: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후백제 왕성,도성 시굴 및 발굴조사 추진 상황보고가 13일 전주 아중호수 일대에서 실시된 가운데 유철 전주문화유산연구원장이 후백제 유적 발굴의 의미 등을 설명하고 있다. /전주시 제공
 전주시가 1000년 넘도록 역사에서 잊혀온 후백제 역사문화를 체계적으로 복원하기 위한 본격적인 발굴조사에 나섰다.

 전주는 900년부터 936년까지 37년간 후백제의 왕도(王都)로서 후삼국시대 격동의 중심지이자 찬란한 역사문화를 펼쳤던 후백제의 역사가 잠들어 있는 곳이다.

 전주시는 15일 “후백제의 왕성 및 도성으로 추정되는 노송동 등 전주시 전역에 산재한 후백제 유적을 찾는 정밀지표조사 결과를 토대로 후백제 역사유적에 대한 시굴 및 발굴조사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후백제 역사유적에 대한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발굴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앞서 유철 전주문화유산연구원장은 지난 13일 후백제 유적 추정지인 전주시 덕진구 우아동 일대에 브리핑을 갖고 “후백제 왕성으로 알려진 물왕멀 일원, 도성으로 추정되는 동고산성과 남고산성, 오목대 등 약 1천653만㎡(500만평)을 대상으로 후백제 유적을 찾기 위한 정밀지표조사를 실시했으며 분묘유적과 성곽유적, 건축유적, 생산유적, 생활유적 등 34개소를 신규 발굴했다”고 밝혔다.

유 원장은 이어 “정밀지표조사 결과 후백제의 왕성은 인봉리 일대(3천265㎡)로 추정됐으며 최근 국립전주박물관에서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의 동쪽부분에 대한 시굴조사를 통해 제방시설 하층에서 통일신라에서 고려시대의 기와 등이 확인돼 왕성과 관련된 시설이 존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남고산성 내의 추정 행궁지의 경우 후백제 때 사용되었던 초석이나 기단석들과 기와들이 수습돼 후백제시대의 유적이 존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아중저수지 인근 무릉고분군은 인위적으로 만든 대형 분묘형태로 조성돼 있으며, 산 정상부에서는 정연하게 배열된 숯이 발견되었다는 주민들의 제보에 따라 향후 후백제와 연관성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생산유적인 왜망실의 우아동 와요지에서는 수많은 기와편과 가마벽체편 등이 발견됐으며 네모 형태의 전돌편(길이 25cm, 두께 6cm)도 확인되고 있어 후백제 관아시설에 필요한 기와 및 전돌 등을 공급했던 지역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주시는 정밀지표조사를 통해 후백제 왕조의 기반을 조성하고 터전을 마련한 다양한 유적들이 지표상에서 확인되고 유역이 전주시 전역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시굴 및 발굴조사를 통해서 조사된 유적의 성격을 밝힌다는 방침이다.

 박회성 전통문화과장은 “전주시가 후백제의 왕도(王都)라고 하지만 그 구체적인 유적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조사하는 사업은 이번이 처음이다”며 “정밀지표조사를 통해 기초자료가 확보된 만큼 앞으로 보다 체계적인 계획을 세워 후백제 역사를 재조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경섭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