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귀농귀촌 인구절벽 해소책으로 관심 가져야
지자체 귀농귀촌 인구절벽 해소책으로 관심 가져야
  • .
  • 승인 2017.08.20 15: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 불황으로 조기퇴직 및 명예퇴직하거나 자영업 불황으로 고단한 도시생활을 접고 귀농귀촌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꾸준히 늘고 있다고 한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5년 기준 전북지역 귀농귀촌 가구는 1만8천여 가구로 집계됐다. 귀농가구가 1천164가구, 귀촌가구가 1만6천183가구등으로 파악되고 있다.

신생아수가 줄고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각 시군마다 인구가 급격히 줄어 들고 있는 농어촌 지역으로서는 참으로 반가운 소식이 아닐수 없다.

인구 절벽 현상으로 30년내에 전북지역 10개 시군은 이미 소멸이 예견되고 있다. 농촌 인구가 수직으로 감소하면서 농촌 마을이 사라져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방 소멸에 관한 7가지 보고서를 통해 젊은 인구 유출과 저출산 그리고 고령 노인 사망등으로 가구 수가 급감해 20가구가 채 안 될 전국의 과소화 마을 1천280개 중 전북에 40%인 515개 마을이 몰려 있다고 진단한 바 있다.

정보원은 39세 미만 가임여성 비중과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간 상대비가 0.5이하를 기준으로 선정한 전국의 소멸위기 자치단체 77개중에 전북이 10개를 차지한 것으로 분류했다. 전주와 익산 군산 등 이른바 전북의 3시와 전주 인근의 완주를 제외한 농어촌 지역 시군이 모두 30년대 사멸될 것이라는 전망은 충격이 아닐 수 없다.

이처럼 전북지역 대부분의 시군이 사멸위기로 내몰리면서 인구를 늘리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지만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지자체들이 출산 장려금이나 이주지원책 등을 내세우고 있지만 자녀 양육과 교육, 일자리등 정주 여건이 미비되다 보니 아직껏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은퇴자나 도심 생활에 심신이 지친 사람들이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생활을 누리기에 적합한 귀농 귀촌을 선택하려는 풍조가 확산 되는 것은 인구 절벽 해소가 절박한 시 군에게는 가뭄의 단비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대책과 정착 여건이 갖추어 지지 않을 경우 귀농 귀촌인들이 등을 돌리거나 농어촌지역에 제대로 정착하지 못하고 또다시 떠나리라는 것은 두말할 것이 없을 것이다.

 각 지자체는 행정차원에서 귀농인들의 조기정착을 돕기 위한 각종 현장실습 교육, 영농자재 구입, 정착비용 지원 등의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해 특히 젊은 사람들이 생계 걱정이 없이 농어촌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여건 마련에 힘을 쏟아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