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개혁과 전북교육 발전 방안
교육개혁과 전북교육 발전 방안
  • 이미영
  • 승인 2017.07.19 15: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 학기가 마무리되고 곧 여름방학이 시작된다. 방학을 맞이하여 아이들은 다양한 체험과 단체 활동을 통해 자아와 정체성을 형성하고, 협력과 소통의 리더십을 배우며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제공하는 청소년단체의 다양한 캠프, 동아리 체험활동의 기회는 충족되지 않아 답답할 뿐이다.

촛불시민혁명으로 새 정부가 출범하고 김상곤 교육부장관이 취임하면서 도민들은 ‘교육대개혁’에 대한 희망과 기대를 갖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 정부에서 보여줬던 독선과 불통의 교육 행정을 해소하고, 민주적인 교육 행정으로 교육 양극화 해소에 부응하는 교육정책을 펴고 이에 지역교육 발전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정부 차원의 교육 개혁과 더불어 전북 교육 행정의 혁신 또한 중요한 시점이다. 공교육은 정부 정책과 법적, 제도적 관계 속에서 영향을 받지만 지방자치, 교육자치 시대를 맞이하여 이제는 시도교육청의 정책 방향과 행정력에 따라 지역 교육의 내용과 질이 달라지고 있다.

그러나 작금 전북교육의 현실을 보면 예전 교육 도시로 이름을 날리기도 했던 때와 달리 심각한 위기에 봉착해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난 1월엔 통신회사 실습생인 특성화고 여학생의 희생으로 아픔을 겪었고, 최근 모여고 교사 성추행 사태의 부끄러운 현주소는 도민들을 충격에 빠뜨리고 있다. 더구나 지난해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가 발표한 ‘한국 아동의 삶의 질’과 ‘주관적 행복감’ 조사에서 전북 아동의 행복지수는 16개시도 중 꼴찌인 16위로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2016년, 전북교육청이 도청, 도의회와 끝내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누리예산 762억 원을 불용액으로 처리한 것은 열악한 전북교육재정을 생각할 때 너무도 가슴 아픈 일이다.

지역 경제의 어려움과 급격한 인구 감소 속에서도 도민들의 가장 큰 소망은 아마도 아이들을 잘 길러 아이들의 미래는 물론 전북의 미래를 가꾸고자 하는 일일 것이다. 이에 전북교육의 시급한 개선책을 살펴보고 교육 개혁의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먼저 전북교육 행정의 소통과 협치 정신이 절실하다. 오늘날 대부분 시도 교육청의 정책 방향은 학교와 교육청이 적극 나서 지자체, 지역사회와 소통하고 협력하여 지역교육시스템 구축에 나서고 있다. 각 교육청의 마을교육공동체 건설과 방과후 학교 활성화, 고교생의 예비대학 수강, 기초학력 보장을 위해 초등 정규시간에 보조교사를 파견하는 1교실 2교사제, 대학에 진학하지 않는 고3 인문계 학생의 직업교육 확대 등 지역과 협력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둘째, 전북 도내 학생들의 기초학력 보장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이제 일제고사 식으로 치러지는 정부의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는 폐지되었으나, 여전히 기초학력은 아이들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학력으로 공교육이 반드시 보장해야 하는 주요 과제이다. 지난해까지 전국 최저 수준인 기초학력 보장 방안에 대한 전북교육청의 철저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진로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다가오는 사회의 변화에 적응하고 4차 혁명 시대를 살아갈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탐구하고 제공하는 진로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진로진학상담교사의 낮은 배치율, 지역과 연계한 자유학기제 준비 부족 등 타시도보다 전북교육청의 준비는 매우 미흡했다. 이에 전북 차원의 교사연수, 진로교육원 설치 등 보다 적극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전북의 아이들이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미래를 꿈 꿀 수 있을 때 아이들은 행복하며, 지역 사회도 희망이 있다. 전북 교육의 힘은 아이들 한명 한명이 처해있는 구체적 현장성을 파악하고 대처할 때,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대와 협력으로 만들어진 지역교육공동체성에서 나올 수 있음을 인식할 때이다.

- 이미영 전북지역교육연구소 대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