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에 가려진 가야국
백제에 가려진 가야국
  • 김영호 기자
  • 승인 2017.06.06 13: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베일에 싸인 전북의 가야 문화 (상)
남원에 이어 장수에서도 가야사 관련 발굴 작업이 한창일 정도로 어제 오늘 일은 아니다. 그러나, 실상은 남원과 장수에 분포된 가야 문화권 연구는 경상도 보다 후발주자로 치부되고 있다.(장수군 제공)
 최근 문재인 대통령은 청와대 회의에서 가야 문화권 역사의 연구 및 복원을 영·호남의 화합을 위한 국정과제로 꼽았다. 가야의 역사가 경상도뿐 아니라 전라도 지역인 남원까지도 아우르고 있는 만큼 동서 화합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 이는 곧, 가야 문화권이 경상도만의 독자 권역이 아니었음을 공표하고, 전북 등 영·호남 전체가 함께 연구에 나서 복원 보존할 공동 과제임을 강조한 뜻으로 여겨지고 있다. 과연 대통령의 청사진처럼 가야 문화권이 동서 화합의 시금석이 될 수 있을까? 기대하는 시선도 있으나, 현실은 녹록지 않다. 학술 연구가 완료 단계에 있어 세계유산등재까지 목전에 둔 영남에 비해 학술 연구 조차 미진한 호남은 더욱 분발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에 본보는 전북의 가야사 연구 단계를 살펴보고, 앞으로 가야 문화권 역사 발굴에 있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한다. <편집자 주> 

 ▲백제에 가려진 가야국

 가야는 서기 전 1세기부터 6세기까지 600년 역사를 이어온 철의 나라였다. 흔히 가야 문화권은 부산 경남을 아우르는 낙동강 유역이 전부인 듯 보였다.

 근래 들어 전북 등 호남 지역에도 가야와 관련된 유물과 유적이 출토되면서, 영·호남에 분포된 가야 문화권이 존재했음을 입증했다.

 특히 전북은 장수와 남원뿐 아니라 진안, 임실까지도 가야 문화권의 벨트로 형성할 수 있을 정도로 문화재 발굴의 현장으로 떠올랐다.

 그럼에도, 전북은 익산의 백제 관련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매진한 나머지, 고대 역사처럼 고구려, 백제, 신라 등 삼국에 밀려난 가야국은 현재까지 외면받는 신세다.

 최근 빛을 본 가야국의 흔적과 비밀은 어찌보면 전북에서 잊혀진 옛 나라를 다시 찾은 셈이다.

 지난 1973년 전라북도 기념물 제10호로 지정된 남원의 두락리 및 유곡리 고분군은 1989년 전북대박물관에 의해 총 40여기의 대형 고총고분 중 수혈식 석곽묘 4기, 횡혈식 석실분 1기 등 총 5기에 대한 발굴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가야계 고분군의 윤곽을 드러냈다.

 2014년에는 운봉, 인원, 아영의 가야 고분군 180기가 분포된 것을 확인해, 가야 고분군 사적 지정을 위한 학술용역으로 학계가 관심을 가졌다.

 남원은 지난해부터 가야 고분군 토지 매입을 완료하고, 남원읍성과 교룡산성, 가야 고분군 등 사적 지정을 신청함과 동시에 장수와 가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나섰다.

장수 또한 고분과 산성, 봉수, 제철 등 다양한 문화유산이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학계에 주목을 받기 때문.

 장수 가야 유산은 백두대간 서쪽지역에서 유일하게 확인되고 있으며, 역사성에서 보면 240기의 왕릉급 고총고분과 삼국시대 중 유일하게 가야 봉수(봉화)도 존재한다.

 또한 장수는 호남 최대 규모의 제철유적도 간직하고 있어, 남원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되면 전북 동부권 관광 거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그러나, 관광 개발을 거론하기에 앞서 남원에 이어 장수에서 발굴 작업이 한창일 정도로 역사 연구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지만, 가야사 연구는 영남 보다 후발주자로 평가 받는다.

 경남, 경북, 김해, 함안, 고령 등 영남 5곳의 지자체는 지난 2월 공동추진단도 구성해, 발빠른 대처 능력을 과시하고 있는 모습과 대비된다.

 마치 영·호남은 세계문화유산 등재란 같은 목표를 두고서, 동상이몽처럼 영남은 영남끼리 호남은 호남끼리 뭉치고 있는 형편인 것.

 김승옥 전북대 고고문화인류학과 교수는 “영남 못지 않게 가야 문화 유산은 호남도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연구 개발 노력은 상당히 필요한 편”이라며, “체계적인 조사가 선행돼 문화 역사 자원을 보존 활용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그에 따른 지자체의 시스템도 완비돼야 각계 각층의 노력도 수반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영호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