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개혁, 대학서열화 폐지가 답이다
교육 개혁, 대학서열화 폐지가 답이다
  • 이해숙
  • 승인 2017.05.18 14: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에게도 ‘대통령다운 대통령’이 생겼다.

 취임 열흘을 맞고 있는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가 어느 때보다 높은 것은, 국가적으로 만연한 적폐를 청산하겠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약속이 현실화되고 있기 때문이며, 그 약속 중에는 국민 누구나가 걱정하는 ‘교육의 문제’도 포함되어 있다. 

 우리 사회의 교육이 모두의 걱정거리가 된 근본에는 대학서열화가 있다.

 일류대학 입학을 목표로 세우는 순간부터 공교육의 틀이 무너져 내린 것이다.

 아이들이 자신만의 가치를 발견하고, 그 가치를 키워감으로 스스로 빛날 수 있게 하는 모든 교육과정은 사라지고, 어떻게 하면 한 사람이라도 더 일류대학에 입학시키는가 하는 게 교육의 목표가 되었으며, 유명대학 몇 명이라도 더 보내야 명문고가 되는 학교의 방침 속에서 학생과 교사의 관계는 흐트러졌다.  

 배움이 있어야 할 학교가 시험 준비를 하는 학원으로 바뀌었고, 학업성적을 서열의 기준으로 삼아 함께 어울려야 할 또래 아이들의 공존이 경쟁으로 무너졌고, 이러한 경쟁에서 뒤처지면 인생이 무너질 것처럼 불안에 떠는 학부모들은 자신들의 이해를 축내 아이들을 사교육속에 밀어 넣었다.  

 꿈꿔야 할 아이들은 경쟁에 ?기고, 부모들의 기대에 쫓기고, 명문학교의 지위를 얻기 위한 학교의 목표에 쫓기며 그들의 꿈을 꾸지 못하고, 정권이 바뀔 때마다 공교육 정상화를 하겠다고 목표를 세웠지만, 대학서열화, 학벌문제 해결 없이 교육을 살리겠다는 교육부는 새빨간 거짓말만 늘어놓고, 그 속에서 아이들과 학부모들의 시름만 깊어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의 근본문제를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은 대학의 서열화를 없애는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새 정부의 교육 정책에는 단계적으로 ‘대학서열화를 약화’시키겠다는 부분이 눈에 띈다.

 1단계는 지역거점 국립대를 육성하고 2단계는 서울대와 지방 국립대의 연합체계를 구축한 뒤 3단계는 국립대 연합체계 진입을 원하는 사립대에 문호를 개방해 중장기적으로 연계하는 구조로 개편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대학서열화를 약화시키겠다는 목표만으로는 부족해 보인다.

 목표를 대학서열화를 폐지하는 것으로 더 높여서 설정해야 한다.

 진정한 대학서열화의 폐지는 1970년 프랑스가 국립파리대학교(University of Paris)를 해체하고 파리 시내에 제1대학부터 파리 제9대학으로 나눴던 방식으로 대학의 이름을 없애고, 철학과 역사 인류학 등 전공에 따라 학교를 구분하는 방식으로 완전히 바꿔야 한다. 뿐만 아니라 졸업 이후에도 동문이라는 이름으로 패거리를 이루고 그들만의 리그를 만들어내는 사회적 차별의 풍토를 없애고, ‘명문대를 졸업하면, 삶도 명문이 될 것’이라는 환상을 깨뜨려야만 가능한 일이다. 

 대학 전까지의 인재가 세상의 인재는 아니듯, 대학 서열화를 통해 우수한 인재들을 입학시키고, 인생의 출발선을 결승선으로 정해버리고 명문대 출신에게만 꽃길을 깔아주는 잘못돼도 한참 잘못된 우리 사회의 교육 풍토를 바꿔야 한다.  

 대학 일 년 다니다 포기했지만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CEO가 된 스티브 잡스처럼, 모든 인간은 고유한 각자의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으며, 그 아름다움이 발하는 때는 아름다움의 패턴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게 마련이다. 아침에 빛을 발하는 꽃이 있는가 하면, 모두가 잠을 청할 때 빛을 발하는 꽃이 있는 것처럼 말이다. 진정한 교육은 이처럼 각자가 가진 그 가치를 스스로 발할 수 있도록 지켜봐주고 기다려주는 것 이상이 아니며, 대학은 그 이상을 실현하는 곳 중 하나라는 걸 명심해야한다. 

 성공적 교육개혁은 대학을 차등 없이 수평적으로 늘어세우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그래서 대학들이 본래의 교육의 가치를 본래의 의지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한다.

 세상의 모든 아이들의 출발은 고른 기회 속에서 보장받아야 하고, 공정한 경쟁과정을 통해 학업성적이 한 사람의 삶의 등급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하고, 그렇게 성장한 아이들이 학벌과 학력이 아니라 저마다의 고유한 가치를 사회적으로 발현할 때 우리사회는 모두가 바라는 정의로운 사회를 이루게 될 것이다. 이것이 교육의 역할이다.  

 이해숙 의원 (전라북도의회 교육위원회 부위원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