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4곳, 인구 줄어드는 ‘축소 도시’
전북 4곳, 인구 줄어드는 ‘축소 도시’
  • 김민수 기자
  • 승인 2017.04.27 17: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지역 6개 시(市) 지역 가운데 4곳이 인구가 줄고 빈집이 증가하는 ‘축소 도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농촌인구 감소로 도내 10개 시군이 30년 내 소멸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 바 있어 인구와 도시 재생 정책에 근본적인 대안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7일 국토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1995년~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데이터 등을 활용해 도내 6개 시지역을 포함한 42개 지방 중소도시를 상대로 인구 변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 20개 도시가 심각한 인구 감소를 겪고 있는 ‘축소도시’로 분석됐다.

이번 조사에서의 축소도시 의미는 1995년~2005년과 2005년~2015년 두 기간 연속으로 인구가 감소했거나, 두 기간 중 한 기간만 인구가 줄었으면서 최근 40년간 인구가 가장 많았던 정점인구에서 25% 이상 인구가 줄어든 도시를 말한다.

20개 도시 가운데 전북지역에서는 익산과 정읍, 남원, 김제 등 4곳이 축소도시로 확인됐으며 경북도의 7곳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치다. 이 중 정읍과 남원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4~20%인 초고령화 사회에 도달했으며, 모든 축소도시의 공가율(빈집 비율)이 전국 평균인 6.5%를 넘어섰다.

이들 축소도시는 2015년 기준으로 재정자립도가 30%를 넘지 못하는 상황이다.

정읍, 남원, 김제, 안동, 상주 등 5곳은 재정자립도가 15%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10년간 재정자립도가 눈에 띄게 악화한 곳은 익산과 김제로, 각각 자립도가 연평균 4.5%, 3.4%씩 감소했다.

조사에서는 또 권역별로 최근 10년간 인구변화율이 낮은 곳인 김제, 삼척, 상주, 보령의 주민 610명을 상대로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73.0%가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는 것을 체감한다고 밝혔다. 그 이유는 ‘일자리 부족’(66.3%)을 원인으로 꼽았다.

국토연구원은 “도시기능의 존속을 위해 축소된 인구에 맞게 주택과 기반시설의 규모를 축소하고 도시생활거점으로 공공서비스를 재배치해야 한다”고 제언한 뒤 “공동시설의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인접 도시 간 공공서비스의 공동이용을 지원하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도내 시지역 중 전주는 ‘지속적성장, 안정’으로 군산은 ‘일시적 성장, 안정’ 유형으로 분류됐다.

김민수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