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대선 바라보는 날카로운 전북민심
장미대선 바라보는 날카로운 전북민심
  • 박기홍 기자
  • 승인 2017.03.30 17: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제 몰표 안 준다”, “경선 후 찬밥 안 된다”, “승부처 포기 안 한다”

 올 5월 장미 대선에 전북민심의 가시가 험악하게 돋쳐 있다. ‘여권 대 야권’의 경쟁 구도였던 지난 선거와 달리 올해 19대 대선은 ‘야권의 싸움’으로 변해 ‘야권 민심의 풍향계’로 불리는 전북의 선택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장미 대선을 바라보는 지역민의 날카로운 가시 3개를 정리해 보았다.

■ “이제 몰표 안 준다”: 장미 대선에 임하는 전북민심의 첫 번째 가시는 몰표 실종을 들 수 있다. 여야 보혁 대결구도였던 지난 대선을 보면 전북은 적게는 81%에서 최고 92%까지 특정후보에 표를 몰아줬다.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와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가 싸웠던 15대 대선에선 김대중 후보에 92.3%의 몰표를 던졌고,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와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붙었던 16대에선 노 후보에 91.6%의 표를 던졌다.

17대 대선에선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에 81.6%를 몰아줬고, 지난 18대에선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에 86.2%의 표를 쓸어줬다. 몰표 현상으로 전북 내 1~2위의 표 격차는 18대 대선 때 83만7표를 달린 것을 비롯해 17대 69만1천표, 16대 980만표 등을 기록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민주당과 국민의당 경선을 보면 ‘몰표는 없다’는 전북민심의 경고장을 확인하게 된다”며 “한쪽을 밀어줬던 전북의 ‘전략적 몰표’ 대신 유력 주자의 애를 태우는 ‘전략적 분산’을 고민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 “경선 후 찬밥 안 된다”: 역대 대선 과정에서 전북은 경선까지만 대접을 받는 ‘경선 일회용’으로 전락해왔다. 특정정당을 편애하는 정치적 편식이 본선에서 대권주자의 ‘관심 밖 지역’으로 내몰리는 고립을 자초했다. 상공업계의 한 관계자는 “13일의 공식 선거기간에도 후보가 광주에 갈 때 전북엔 선대위원장을 보냈던 찬밥 사례가 적잖았다”고 술회했다.

하지만 이번 대선엔 달라졌다. 본선에서 또다시 찬밥 신세로 전락하지 않겠다는 두 번째 가시다. 전북을 우선하겠다며 ‘전북 퍼스트(first)’를 외친 국민의당 전북 경선에 무려 3만명이 대거 몰렸다. 광주·전남에서 전북을 떼어내 별도의 분리경선을 단행한 것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낳았다는 분석이다. 전직 도의원 K씨는 “국민의당 경선 열풍은 전북을 대접하는 정당에 호응하겠다는 민심이 반영된 단면”이라며 “이는 본선에서 후보들이 전북을 단순히 끼워넣기 식으로 푸대접한다면 민심이 확 바뀔 수 있다는 경고장”이라고 말했다.

■ “승부처 포기 안 한다”: 세 번째 가시는 끝까지 존재감을 잃지 않겠다는 여론이다. 전통적인 야권 지지 기반인 전북은 선거인구가 전체의 3% 수준이지만 상징적 선택을 통해 존재감을 드러냈다. 하지만 이번 대선에선 호남 몰표가 사라진 대신 수도권이 승부처로 급부상했다. 그러자 지역민 사이에선 “민주당과 국민의당으로 표를 양쪽에 분산하는 대신 출향인사를 통해 수도권 표심에 영향력을 발휘해야 한다”는 말이 회자하고 있다.

전북의 주민등록상 인구는 186만5천명(2016년 말)이지만 수도권 등에 나가 있는 출향인사만 300만명을 웃돌 것이란 추정이다. 광주·전남까지 확대하면 호남의 출향인사는 1천만명 이상이란 분석이다. 본선에서 전북의 승부처 전략을 쓸 수 없다면, 출향인사와 힘을 합쳐 ‘신(新) 승부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정치권에선 “선거를 통해 지역의 실익을 챙겨야 한다는 강렬한 욕구가 장미 대선의 ‘민심 가시’로 자리 하고 있다”는 말이 오가고 있다.

박기홍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