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1천년, 정체성 확립과 실행 과제
전라도 1천년, 정체성 확립과 실행 과제
  • 박기홍 기자
  • 승인 2017.02.11 17: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라도 1천년…신(新)밀레니엄 시대 열자 <5>

 전북이 전라도 1천년의 신(新)밀레니엄 시대를 열어가기 위해서 정체성 확립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여론이다. 정체성 없이 미래 1천년의 발전을 주도할 수 없는 까닭이다.

 전라도 1천년과 전라감영 등 전북의 역사적 위상 정리를 통해 도민의 자긍심과 정체성을 재정립하고, 이를 통해 ‘전북 몫 찾기’에 주력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전북도는 정체성 확립을 위해 다양한 과제를 설정하고 지역민들의 동참을 유도하고 있다.

 ■ 전북의 역사적 정체성

 전북은 역사상 2개 국가의 수도를 껴안고 있다. 고도인 익산 왕궁은 백제 무왕의 궁궐터이자 전주는 후백제의 수도로 마한~가야~후백제 문화의 융합지역이 전북이다. 현실개혁과 동학발상지도 전북이다. 모두가 세상의 주인이라는 정여립의 개혁사상인 대동사상과 반봉건·반외세의 기치를 내건 민족 자주운동의 시발지라는 주장이다.

 전북은 전라도의 중심이었다. 태종~고종 500년간 전라감영 소재지인 전주는 전라도 정치와 사회, 경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산업화 시대 이전까지 전북은 농업 기반으로 국가경제·문화를 선도해왔고, 김제의 벽골제와 쌍용놀이로 유명하고, 남원은 판소리의 본향이다.

 화려한 전북의 역사는 70년대 이후 쇠락의 길로 접어든다. 지난 50년간 수도권·경부 축 중심 개발로 지역 불균형이 초래해 전북의 어두운 그림자는 짙어갔다. 지난 70년대 정부의 국토종합발전계획 수립을 필두로 국토 개발의 계획적 추진 과정에서 농업 중심의 국가 기반은 제조업 중심으로 재편하게 된다.

 80년대~90년대에는 국토 불균형 해소를 위해 수도권 입지규제(2차), 지방광역개발(3차) 등을 추진했지만, 수도권 집중도는 오히려 심화했다. 지난 2002년 참여정부 들어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해소를 위해 ‘균형과 물리적인 분산’ 전략에 나섰고, 급기야 수도권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분산하는 혁신도시 조성이 본격화하게 된다. 전국 10개 혁신도시 조성, 행정중심 복합도시 등 지역별 자립기반 형성에 무게가 실린 때였다.

 하지만 MB정부 때 다시 5+2 광역경제권으로 전국을 재편하면서 호남 1개 권역에 영남은 2개 권역으로 설정되는 등 인위적 권역 설정이 전라도를 광주 중심으로 변모하게 했다. 지난 정부의 성장거점 정책에 따라 전북 등 낙후지역은 더욱 소외되는 등 지역 간 불균형은 지속적으로 심화됐고, 소외된 전북은 개발격차를 만회할 수 있는 기반과 동력 마련이 사실상 어려워 낙후를 면치 못하게 됐다.

 전북도는 전북의 정체성 확립 차원에서 전라도 정도 1천년(2018년)에 맞춰 전북의 역사적 위상 정리를 통해 도민의 자긍심과 정체성을 재정립하고 ‘전북 몫 찾기’의 명분으로 삼아간다는 전략이다. 정체성 찾기의 3대 과제로는 ‘전라도 1000년 프로젝트 추진’, ‘전북 몫 찾기 분위기 확산’, ‘전북 대도약 프로젝트 추진’ 등이 제시됐다.

 ■ 전라도 1천년 프로젝트 추진 

 전라도가 이대로 주저앉을 것인가?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찾으려는 노력이 본격화하고 있다. 전라도 1천년을 앞두고 관련 프로젝트를 마련하고, 전북 몫 찾기를 통해 화려한 옛 명성을 되찾아야 한다는 여론도 확산하고 있다.

 우선 전라도 1천년 프로젝트가 관심을 끈다. 이 사업의 배경은 제주도를 포함한 전라도의 행정·문화적 중심이었던 전라감영의 복원과 전라도 새천년 공원 조성 등을 통해 전북인의 자긍심을 회복하자는 것이다. 올해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대선 공약사업으로 반영하고 향후 국가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자는 전략이다.

 전라감영 복원과 이의 준공식과 연계한 기념식, 문화행사 등을 개최하고, 전북과 광주·전남 등 3개 시·도가 공동으로 전라도 천년기념 상징공간을 조성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또 전북은 전라도 새천년 공원을, 광주광역시는 천 년의 빛 미디어창의 파크를, 전남은 전라도 천년 정원을 각각 조성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전북 독자 권역 설정도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수도권과 경부 축 중심 개발은 심각한 지역 불균형을 가져왔고, 지난 1970년 경부고속도로가 완공된 이후 국토개발이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이른바 ‘경부 축’을 중심으로 진행돼 수도권과 경부 축 지역에 전국 인구의 75% 이상이 집중돼 있다.

 오택림 전북도 기획관은 “지역격차의 심화로 자본주의의 폐해인 ‘승자독식 구조’는 고착화하고 있다”며 “전북과 같이 낙후한 지역일수록 각종 사업 추진과 관련한 경제성·타당성을 확보하기가 더욱 어려운 형편”이라고 말했다. 여기다 인구유출 등 지역 내 수요 감소로 이어져 지역발전이 힘들어지는 악순환의 고리가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광역시가 없는 지역은 항상 국토발전에서 소외받는 구조도 문제다. 영남권은 TK(대구?경부)와 PK(부산?경남)의 2개 권역으로 설정되어 있는 반면, 주민생활권이 전혀 다른 전북을 광주·전남과 함께 1개의 호남권으로 묶어 정치·경제·산업 등에 대한 국가지원이 차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가뜩이나 어려운 전북의 침체를 부추기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는 셈이다. 전북도의회 김현철 의원(진안)은 “주민 생활권이 다른 전북을 호남권에서 분리해 독자 권역으로 설정하고, 지방 대도시를 거점으로 하는 지방 중추도시권 육성정책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기홍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