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하굿둑 해수유통론 재현 조짐
금강하굿둑 해수유통론 재현 조짐
  • 정준모 기자
  • 승인 2017.01.18 14: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금강하굿둑 해수유통론이 재현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 일로 2004년 중단됐던 군산-서천 행정협의회가 재개되고 관광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한 교류로 상생의 길을 걷는 군산시와 충남 서천군이 또다시 불편한 관계로 접어들 수 있다는 점에서 귀추가 주목된다.

최근 유력 대권 후보로 거론되는 안희정 충남도지사는 기자 회견을 통해 대선 출마와 관련 정책적 대안으로 4대강 사업으로 훼손된 하천 생태계 복원을 제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안 지사는 대선 출마 선언때 금강 하굿둑 개방을 대선 공약으로 채택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여기에 부산시가 낙동강 하굿둑 개방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어 금강하굿둑 개방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될 것이란 전망이 유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군산시가 공식적 언급을 하지 않지만 뜻있는 많은 시민은 우려의 눈으로 바라보고 있다.

민선 6기 출범과 함께 훈풍이 불기 시작한 양 지역 간 화합에 암초로 작용할 폭발성을 지녔기 때문이다.

실제로 양 지역의 해수유통 견해는 첨예하게 갈린다.

군산시 성산면 성덕리와 서천군 장항읍을 연결한 금강하굿둑은 당시 돈으로 1천10억원이 투자돼 총 길이 1천841m(배수갑문 30m×10.3m·×20문)에 왕복 4차선 규모로 지난 1990년 완공됐다.

바다를 사이로 놓인 양 지역을 자동차 오갈 수 있는 시대를 열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부여되고 있다.

무엇보다도 전북도 일원과 충남에 농업 및 공업용수 공급은 물론 홍수를 조절하고 바닷물의 역류를 막아 농경지의 염해 피해 방지, 호반 조성에 따른 관광자원 창출 등 복합 기능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데 이견이 없다.

지금은 잠잠하지만 서천군은‘금강 살리기’란 명분으로 해수유통론 입장이다.

지난 2009년 4대강 살리기 사업에 금강하구 수질개선 사업(해수유통)을 반영해 달라며 정부에 요구한 데 이어 당시 국토해양부에 금강하굿둑 철거 및 해수유통을 정식으로 건의했다.

이후 해수유통과 관련 전문가 토론회를 수차례 개최했고 금강호 실태조사 용역을 실시한 바 있다.

서천군은 금강하굿둑이 수질·수생태계 악화와 토사 퇴적 심화를 가져온 만큼 홍수피해 예방, 항구기능 회복을 위해 용수 확보를 전제한 ‘서천 측 갑문증설 및 해수유통’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을 피고 있다.

연간 80만톤 토사로 20∼25cm 퇴적하고 하천의 흐름을 막아 수질 악화가 불가피해 10∼15년 이후는 농업용수 사용이 불가하다는 것.

반면 군산시는 해수유통에 대해 절대 반대다.

2억600만 톤의 물을 확보하고 도로 및 철도를 통한 육상 운수 개선 등을 목적으로 건설된 금강하굿둑을 해수유통해야 한다는 주장은 지역 간 갈등을 부추기고 국가차원에서도 검토할 만한 사안이 못된다는 것이다.

군산에 입주·가동중인 수백여 기업체에 용수를 공급하지 못해 가동이 차질을 빚어 막대한 국익손실로 이어질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한, 전북(3만5천786ha)은 물론 충남 일부 농경지(7천214ha)에 대한 농업용수가 끊기는 상황을 초래한다고 밝히고 있다.

특히, 물은 생명의 근원이자 산업발전의 핵심자원이고 우리나라는 유엔이 정한 물 부족 국가로 수자원의 확보가 국민의 생존과 산업의 기초라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군산시 한 관계자는 “해수유통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며 “해수유통을 가지고 양 지역이 논쟁을 벌이는 없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군산=정준모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