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의 변화와 쇄신이 가장 급하다”
“정치권의 변화와 쇄신이 가장 급하다”
  • 최고은 기자
  • 승인 2016.11.21 14: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창간] 전북지역 오피니언 리더 88명 여론조사

 최순실 게이트에 미 대선 결과에 따른 트럼프 쇼크까지 전북이 내우외환의 위기를 맞고 있다. 가뜩이나 장기불황에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 벼랑 끝으로 내몰리는 최악의 상황에서 강한 외풍마저 잦아 지역이 어려움에 부닥치고 있다. 전북도민일보는 이와 관련, 전북의 변화와 혁신을 위한 과제, 선택과 집중의 문제 등에 대해서도 오피니언 리더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했다. 조사는 지난 11월 1일부터 8일까지 1주일 동안 전북 정치권과 경제·사회·문화·학계 등 각계각층에서 지역을 이끌어가는 여론 주도층 88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 변화·혁신을 위한 과제

우선 “전북이 혁신을 통해 희망을 일구기 위한 과제가 무엇이라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했다. 복수응답을 허용한 이번 질문에서 “정치권의 변화와 쇄신이 급하다”는 답변이 24.8%를 기록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응답자 4명 중 1명의 전북 정치권의 혁신을 주문한 말과 통한다. 그다음으로는 “도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등 의식개혁이 선행돼야 한다”는 의견이 20.4%를 차지했고, “소통과 협치의 극대화” 14.7%를 기록했다.

이밖에 “도민 화합과 대통합 추진”, “산업계 노사 문제” 등 2개 항목에 표시한 비율이 각각 10.8%로 나타났고, “교육개혁 등 공교육 강화” 의견이나 “공직사회 바로 서기” 견해는 각각 7.6%와 9.6% 등으로 집계다. 본보가 같은 질문과 항목을 통해 오피니언 리더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했던 지난 2014년 12월의 결과와 비교할 경우 순위는 바뀌지 않았지만 지역민들의 의식개혁을 지적한 비율이 약 8%포인트가량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 “일자리 창출이 급하다”

그렇다면, 전북의 번영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기 위해 가장 집중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분야는 과연 무엇일까? 오피니언 리더들에게 직설적으로 이런 질문을 던졌다. 그 결과 “일자리 창출과 기업 유치가 시급하다”고 말한 사람이 27.6%로 가장 높았고, “문화·관광산업 육성과 특화”라는 비율이 25.2%로 2위에, “새만금 국제공항 등 내부개발이 급하다”는 비율이 22.1%로 3위에 각각 올랐다. 1~3위까지 5%포인트 안팎의 격차에 머문 점은, 전북발전을 위해 특정 분야만 집중해야 한다기보다 일자리와 문화·관광산업 육성, 새만금 개발 등 세 마리 토끼를 동시에 쫓아야 한다는 주장으로 풀이된다.

이밖에 “탄소산업 등 전략산업 육성이 절실하다”는 답변이 11.0%였고, “대형 국책사업 발굴과 유치가 요청된다”는 의견도 14.1%로 집계됐다. 이런 의견은 여론 주도층 100명을 대상으로 추진했던 2년 전의 설문조사와 엇비슷했는데, 당시엔 1위를 차지했던 일자리 창출과 기업 유치 응답 비율이 35.0%로 이번 조사보다 높았다.

■ 도민의 자부심과 거주 의향

전북도민에 대한 자부심은 다른 항목에 비해 비교적 높았다. 우선 질문은 “전북도민이라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것이었는데, “매우 자랑스럽다”고 말한 비율이 27.3%를 기록했다. “대체로 자랑스럽다”고 응답한 비율(40.9%)까지 합친다면 전북도민에 대한 자부심 비율은 68.2%로 집계됐다.

하지만 “별로 자랑스럽지 못하다”는 응답도 26.1%로 나왔으며, “전혀 자랑스럽지 못하다”는 답변은 2.3%였다. 눈여겨볼 점은 각급 사회단체 관계자들의 “별로 자랑스럽지 못하다”는 응답이 60%를 넘어서 가장 높았다. 12명이 응답한 경제단체 관계자들도 절반가량이 “전북도민인 것에 대해 별로 자랑스럽지 못하다”고 말해 관심을 끌었다.

2년 전의 설문조사와 비교할 때 전북도민에 대한 자부심 비율은 79.0%에서 10%포인트가량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경제계의 한 관계자는 “청년 실업률이 두 자리 수의 고공행진을 하고 매달 1천여 명 안팎의 인구가 감소하는 등 악순환을 거듭하고 있어 오피니언 리더들이 느끼는 자부심 비율이 하락한 것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향후 10년 후에도 전북에 거주할 의향은 과연 어떠할까. 이번 조사 결과 응답자 10명 중 1명꼴인 90.6%가 “거주할 계획”이라고 자신 있게 말했고, 2.3%는 “거주하지 않을 계획이다”에, 7.1%는 모름·무응답에 각각 체크했다.

■ 신뢰사회 구축, 아직 멀었다

지역사회의 신뢰는 또 다른 SOC에 해당한다. 그래서 이번엔 “만약 집 근처에서 20만원이 든 지갑을 분실했을 때, 돈이 있는 원래 상태로 되돌아올 것이라고 얼마나 기대하느냐”고 물어보았다. 그 결과 “별로 기대하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답변이 54.0%를 기록해 가장 높았다. 여론 주도층 2명 중 1명가량은 분실한 지갑이 원 상태로 되돌아올 가능성을 희박하게 보는 셈이다.

다소 부정적인 의견에 “전혀 기대하지 않는다”는 극단적인 부정 의견(6.9%)까지 포함할 경우 응답자의 63.9%가 분실지갑에 대해 기대를 하지 않았다. 이와 반대로 “매우 기대한다”는 응답과 “대체로 기대하는 편이다”는 답변은 각각 10.3%와 28.8%를 차지했다.

지갑이 분실한 상태대로 되돌아올 것이라고 신뢰하는 비율이 29.1%, 30%에 근접했다. 2년 전의 조사에선 분실한 지갑이 그대로 되돌아올 것이란 응답자가 42.0%였다. 전북의 신뢰사회 척도가 지난 2년 동안 되레 후퇴한 셈이란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별로 기대하지 않는다는 불신감은 사회단체 관계자 응답 비중이 72.7%를 기록해 가장 높았고, 지방 정치인들의 같은 비중은 44.0%로 비교적 낮아 눈길을 끌었다.

최고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