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금 메카’ 도약, 꿈이 차곡차곡
‘연기금 메카’ 도약, 꿈이 차곡차곡
  • 이종호 기자
  • 승인 2016.11.14 15: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창간] 전북 금융타운 구축

 국민연금기금운용본부가 전주혁신도시에 이전을 앞두면서 전북이 금융 중심지로 발전한다는 부푼 꿈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전북이 서울과 부산과 함께 금융 트라이앵글을 구성하면서 연간 수천 억 원의 지역경제 창출효과를 낼수 있는 첨단 금융 중심지로 거듭날 수 있는 기회를 맞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풀어야 할 숙제도 많다.

전북이 과거 수십 년 동안 개발 사업에서 소외되면서 낙후도시라는 오명을 쓰고 있어 천문학적인 기금을 운영하는 금융도시로서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크기 때문이다.

각종 금융지표가 1%대에 머물고 있는 취약한 금융인프라도 문제다.

전북금융타운 조성을 위해 어렵지만 기필코 극복해야 될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조명해 본다.

 ▲ 기금운용본부 내년 2월 이전

전주혁신도시에 국민연금기금운용본부가 2월 이전을 앞두고 전북혁심도시에 신축사옥 공사가 올 연말 준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기금본부는 지난 2011년 5월 국토교통부가 전주로 이전지역으로 변경 발표한 후 2013년 7월에 관련법을 개정해 전북이전을 공포했고, 작년 4월 전북 혁신도시에 신축사옥 착공을 시작으로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국민연금은 건물이 완공되면 신축건물의 환기와 가구배치 등을 내년 2월까지 마치고 3월부터 이곳에서 본격적인 업무를 시작한다는 방침이다.

기금운영본부가 들어설 경우 관련 금융기관만 300개가 혁신도시에 입주할 예정이며 270명의 펀드매니저 상주로 매년 수만명의 투자자들의 방문이 이어져 경제적 파급 효과가 연간 3천억 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GRDP 최대 3천522억원 증가

한국금융연구원은 최근 기금운용본부가 이전할 경우 지역내총생산(GRDP)은 최대 3천522억원이 늘어나고 국내외 투자를 끌어오는 효과도 5천534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른 부가가치 창출액도 최대 4천530억원에 달할 것이란 전망도 제시했다.

하지만 경제적 파급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전북이 금융허브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금융중심지 지정 등 국가 주도의 금융인프라 조성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혁신도시가 ‘연기금 특화 금융중심지’로 지정될 경우 서울 ‘종합금융중심지’, 부산 ‘해양특화 금융중심지’와 함께 우리나라 금융트라이앵글(삼각 금융지)을 구축할수 있다.

금융중심지는 다수의 금융기관들이 자금의 조달과 거래, 운영 등을 할 수 있는 곳으로 금융위원회의 주재로 지자체의 신청을 받아 선정된다.

현재 서울 여의도와 부산 문현지구가 금융중심지로 지정됐으며 여기에서는 세제 혜택과 임대료 인하 등의 금융 금전적 인센티브와 전문인력 교육과 인력 수급 등의 각종 지원이 제공된다.

전북이 금융허브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현재 상황을 점검하고 발전시켜나가야하는 의지가 중요하다.

그렇다면 전북의 금융인프라는 어떤 상황인가.

아쉽게도 전북은 금융 인프라가 가장 취약하다.

전국대비 제조업 비중이 2~3%인 반면 예·대율 등 각종 금융지표는 20년 이상 1%대에 머물고 있다.

 ▲ 금융 인프라 구축 서둘러야

여의도 증권가에서 기금운용본부 전북이전과 관련한 문제를 제기하는 상당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렇다면, 과연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전문가들은 ‘선언적 의미’보다 연기금 허브를 향한 전북의 신뢰와 미래 비전을 끊임없이 보여줘야 한다고 조언한다.

다행히 전북도는 지난해 큰 그림을 그렸고, 금융허브 도약을 위한 3대 분야 28개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안정적 이전과 정착, 금융산업 저변 확대, 특화 금융산업 육성 등이 3개의 골격을 이루고, 28개의 세부 사업이 이를 지탱하고 있다.

신뢰를 쌓을 실행 의지를 피력하는 것도 요청된다.

한국금융연구원이 작년 말에 전북도에 제출한 ‘전북 특화금융산업 발전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전북금융타운(JBFT)을 조성하기 위해선 도시계획 확정과 예산 확보가 필요하다.

금융회사 이전과 관련한 지원 조례를 제정하는 일도 미룰 수 없는 현안이다.

중앙정부와 협조해 도의회를 중심으로 조세특례 제한법의 적용대상을 확대하여 ‘탈(脫) 여의도 현상’을 북돋우고, 이런 금융회사에 최대한의 이전 인센티브를 부여해야 한다는 말이다.

 ▲ 이전 금융기관 인센티브·금융타운 조성 시급

전북금융타운 조성을 위한 예산 논의도 화급을 다툰다.

국민연금공단이나 전북도·전주시 등이 공조 행보를 통해 서울과 부산에 이어 제3의 금융타운을 조성하는 예산부터 확보할 때 여의도 금융가에서 “전북의 의지가 강하다, 믿음이 간다”고 인정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김광수 국회의원(국민의당·전주갑)은 “국민연금 기금은 오는 2030년엔 1천732조원에 달하고 2043년엔 최대 2천500조원을 넘어설 것”이라며 “급속하게 성장하는 기금의 원활한 운용을 위해 현재 짓고 있는 기금운용본부 건물 외에 ‘제2기금관’을 건립하고 종합적인 시설을 구상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또 “연기금 메카를 향해 뚜벅뚜벅 걸어가기 위해선 기금운용본부와 전북도 간 협력관계를 강화해야 한다”며 “국내외 주요 투자회사 및 대기업의 전북 방문 때 사전 정보공유를 통해 전북을 소개하고 향후 투자유치를 받을 수 있도록 관련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종호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