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마을 민간위탁 방식 개편으로 뒤숭숭
한옥마을 민간위탁 방식 개편으로 뒤숭숭
  • 김미진 기자
  • 승인 2016.10.23 13: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주 한옥마을 문화시설 활성화 시험대

 전주시가 전주 한옥마을 문화시설의 공공성 확보와 운영 활성화를 위해 내놓은 개편(안)이 시험대에 올랐다.

 전주시가 오는 12월 31일 한옥마을 문화시설의 민간위탁 만료를 앞두고 운영방안을 개선, 24일 전주시의회의 동의를 구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날 특별한 이견이 없는 한 한옥마을 문화시설의 운영방식이 대폭 수정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전주시는 한옥마을 문화시설의 공공성 확대를 위해 일부 시설은 직영하는 방안을 검토, 또 일부의 경우 3개의 시설을 묶어 한 법인이나 단체에 민간위탁하는 방식을 택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예산 절감과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문화시설의 공공성 확대를 기대한다는 구상인 것. 한옥마을의 관광객이 급증하고 주변 환경도 많이 변화했기 때문에 각 시설에 대한 연계성을 찾고, 규모화시켜, 독창적인 문화공간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이번 개편에서 시가 직영하거나 사용허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대상은 음식관을 제외한 전주전통문화관의 시설, 전주공예품전시관, 전주한옥생활체험관, 삼도헌, 전통문화연수원 등으로 알려졌다.

 시는 전주전통문화관의 시설을 전주문화재단이 운영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한편, 전주공예품전시관은 직영하면서 공예의 장르별 활성화와 상품을 개발하는 공간으로, 전주한옥생활체험관의 경우는 그 용도를 전환해 김치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또 전주소리문화관·전주전통술박물관·한옥마을선비문화관을 하나로, 최명희문학관·전주부채문화관·완판본문화관을 하나로 묶어 운영주체를 찾는다. 시는 이들 시설을 통합 운영하게 되면 일부 인건비 등을 절감해 신규사업 예산으로 활용하면서 운영의 체질 개선도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반면, 공예공방총1단지, 청명헌, 전주전통문화관 음식관 등은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단독으로 민간위탁관리 대상자를 찾는다.

 이에 따라 관내 관련 법인과 단체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각 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운영주체들의 눈치싸움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각기 다른 전문성을 지닌 이들 시설을 한데 묶어 규모화한다고만 해서 운영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는가이다. 관련 예산과 인력확충이 뒷받침 되는 않는 한 현재의 운영구조에서 벗어나기는 힘들어 보이기 때문이다. 한옥마을 문화시설 관계자 A씨는 “현재도 운영비와 인건비를 따지면 예산이 빠뜻하게 지원되고 있는 상황인데, 민간위탁금의 현실화가 뒷받침 되지 않는다면 3개 시설 통합은 시의 꼼수밖에 볼 수 없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더욱이 이 같은 시의 개편(안)이 한옥마을 문화시설의 향후 10년을 위한 새판을 짜는데 긍정적인 방향타가 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시각이 크다.

 사실상 민간위탁 만료 시기만 도래하면, 시가 이들 시설의 운영 방식을 매번 바꿔오면서 3년마다 한 번 꼴로 바람잘 날이 없었기 때문이다. 실제, 3년 전에도 시가 각계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경영의 합리화만을 내세우면서 한옥마을 문화시설의 일부를 유료 위탁시설로 전환해 허송세월을 보내고만 선례도 있다.

 시 문화정책의 중요한 중심축이 되는 한옥마을이지만, 그 곳의 문화시설들은 운영주체가 바뀌면서 겪게 되는 잦은 인력 교체, 턱없이 부족한 예산지원, 시설 노후와 등의 문제에 반복적으로 노출됐다.

 올해의 경우는 시가 운영방식을 바꿀 것이라는 소문만 연초부터 무성했을 뿐, 정확하게 어떠한 부분이 어떻게 바꾸게 될 것인지에 대해서 명확하게 전달됐던 일이 없어 이들 시설 근무자들의 스트레스도 만만치 않았다. 결국, 그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돌아갈 수 밖에 없었을 터다.

 지역 문화계 관계자는 “근본적으로 이 같이 시설들을 한데 묶어 민간위탁하는 것은 한옥마을 문화시설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나 큰 흐름이 없어 보이고 효율적인 운영에 대한 고민도 없어 보이는 처사다”면서 “과연 공공성이 확보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고, 득보다는 실이 많을 것이다”고 우려했다.

 김미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