乙의 전쟁
乙의 전쟁
  • 나영주
  • 승인 2016.09.05 18: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웨이터의 법칙’이라는 말이 있다. 미국 작가 데이브 배리가 처음 쓴 말로 웨이터와 같은 서비스직군의 사람에게 대하는 태도를 보면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평가가 가능하다는 말이다. 데이브 배리는 말한다. “누군가가 당신에게는 잘 대해주지만 웨이터에게는 거만하게 행동한다면 그는 좋은 사람이 아니다”

인터넷에는 ‘진상 갑질 고객’들의 행태를 토로하는 글이 올라오곤 한다. 실제로도 가끔 식당에서 소란을 피우며 서비스업 종사자에게 갑질을 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내가 누군 줄 알고 그러는 거야?”부터 “사장 나오라고 그래”는 양반이다. 심하면 폭력과 같은 물리력 행사도 동반된다. 흥미로운 사실은 위와 같은 ‘갑질 고객’들이 사회에서 항상 ‘갑’의 위치에 있는 사람이 아니라, 언제든 ‘을’의 위치에 설 수 있는 평범한 사람들이라는 점이다.

강한 자에게 약하고 약한 자에게 강한 모습이 인간의 본능이라고 하더라도 위와 같은 갑질 문화가 사회 전반적으로 횡행하고 있다는 사실은 살기가 팍팍해져서일 것이다. 특히 최근 문제되고 있는 혐오문화도 강자에 대한 혐오보다는 빈곤층, 여성, 성적소수자, 노인과 같은 약자에 대한 혐오가 대부분이다. 약자에 대한 조롱과 멸시가 같은 약자들끼리 일어나는 형국이다. 철학자 강신주는 이와 같은 현상의 원인으로 공동체의 붕괴를 꼽았다. 곤란을 겪는 시민을 도울 국가체제의 붕괴 말이다. 남은 것은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이다. 그는 이러한 현상을 ‘각자도생(各自圖生)’이라고 표현했다.

보수정권 10년에 접어들면서 공동체가 붕괴하였다는 사실은 아이러니다. 정치학적 관점에서 볼 때 보수정권은 공동체를 중시하면서 개개인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려고 한다. 정부의 인위적인 개입은 자제하지만, 국가안보와 공공의 이익을 추구한다. 더구나 박근혜 정부는 수많은 복지 공약을 내걸고 탄생했다. 하지만, 현실은 결국 각자도생이었다.

강신주의 해석에 덧붙이자면 ‘을의 전쟁’이 벌어지는 이유는 진정한 갑에 대한 ‘분노의 피로감’ 때문일 것이다. 최근 언론에 오르내리는 일들, 그러니까 수백억의 부당한 이득을 축적한 검사 출신 변호사, 기업으로부터 뇌물을 받았다는 의혹을 받는 현직 검사장, 비정상적인 부를 축적하고 직권을 남용하였다는 혐의를 받는 민정수석, 초호화 여행경비를 지원받았다는 1등 언론사 주필, 대기업의 과오를 안고 자살한 기업 부회장 등 일련의 사건을 보면서 국민들이 느끼는 피로감이다. 분노를 해도 달라지지 않는 현실은 ‘어려운 분노’를 체념케 하고, ‘쉬운 분노’를 일상화 시킨다.

시인 김수영은 그의 시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왜 나는 조그마한 일에만 분개하는가/저 왕궁(王宮) 대신에 왕궁의 음탕 대신에/오십 원짜리 갈비가 기름등어리만 나왔다고 분개하고/옹졸하게 분개하고 설렁탕집 돼지 같은 주인년한테 욕을 하고/옹졸하게 욕을 하고//한 번 정정당당하게/붙잡혀간 소설가를 위해서/언론의 자유를 요구하고 월남파병에 반대하는/자유를 이행하지 못하고

공적인 일에 대한 분노를 잃어버린 사회에서 국민들은 모두 제 살길을 찾아다니며 서로 서로에게 ‘갑질’을 한다. 조그만 일에, 나아가 자신보다 약한 자에 대한 분노의 일상화다. ‘을의 전쟁’은 모두가 패자다.

나영주<법률사무소 신세계 대표변호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