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의 농생명 지원시스템을 배운다
경북의 농생명 지원시스템을 배운다
  • 박기홍 기자
  • 승인 2016.06.30 17: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혁신도시와 농생명산업 연계방안 <2>

 귀농 11년 연속 1위를 고수하는 광역단체가 있다. 바로 경북도다. 지난 2014년엔 무려 2천170여 가구가 귀농해 전북의 19.5%를 차지했다. 귀농한 가구 5개 중 1개가 경북으로 향한 셈이다. 경북은 또 지난해 지자체 농식품 수출평가 우수상을 거머쥐어 1억5천만원의 인센티브를 받기도 했다.

 과연 무슨 비법이 있을까? 해법을 찾기 위해 직접 경북도청을 찾아 농업 활성화 방안, 그중에서 농생명 산업을 위한 친환경 농업 육성 방안에 돋보기를 들이댔다. 경북의 비법은 세계적 흐름에 맞춰 친환경 농업기반을 갖추는 등 다양한 시책을 강도 높게 추진하는 데 있었다. 농생명 산업을 둘러싼 환경은 급변하고 있다. 지난해 말 중국과 뉴질랜드 등이 FTA 발효로 농업과 농촌의 대외 개방을 확대했고, 넓어진 경제영토를 놓고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국제곡물 가격은 생산 호조와 재고 확대로 하락세가 예상되지만 엘니뇨 등 기상악화에 따른 작황 부진 우려 등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다.

 경북도는 이와 관련, 농업정책 분야와 FTA 농식품유통, 농촌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원업무를 확대 강화하는 방안을 통해 환경변화를 극복해 나가고 있다. 농생명 산업 육성 차원에서 친환경농업 분야의 다양한 시책을 마련하고 있어 관심을 끈다. 우선 친환경 농업기반을 조성하고, 생태적 유기농업 핵심농가를 육성하며, 친환경 농산물의 판로확대 지원에 팔을 걷어붙이고, 과수의 고품질을 위한 시설현대화에 박차를 가하도록 유도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경북의 친환경 농업기반은 광역 친환경 농업단지 조성 1개소와 전략적 친환경 농업기반 구축 3개소 등 4개를 추진하게 된다. 총사업비 16억원을 들여 친환경 농자재와 농산물 생산시설·장비를 구축하고, 친환경 농산물 유통시설 등을 갖춰나간다는 복안이다. 경북도의 한 관계자는 “농약·화학비료 사용량을 감축하고 가축분뇨 자원화를 통해 농업환경을 유지·보전하며 고품질 안전농산물 생산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북도는 또 오는 2020년까지 생태적 유기농 핵심농가 100호를 육성하여 유기농업 정착을 통한 친환경 농업 확산에 주력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친환경농산물 저농약 인증제 폐지에 대비하여 유기농업의 조기 정착과 확산을 위해 추진하는 것이다. 지역 내 유기 농업에 대한 고도의 기술을 갖춘 핵심 농가를 선발하여 시군 전담지도사가 이들 농가의 다양한 재배기술을 체계적으로 분류·정리한 뒤, 집약된 유기재배 매뉴얼을 도내 농가에 보급하고 있으며, 친환경농업을 처음 시작하려는 농업인들에게도 좋은 지침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생태적 유기농업 핵심농가로 선정된 농가에는 유기농 실천에 필요한 친환경 농자재, 시설·장비 등 사업비로 연 2천만원씩 3년간 지원한다. 유기농업 핵심농가로 선정된 농가는 시군 농업기술센터 전담 지도사와 함께 토양관리에서부터 비배관리, 병해충관리, 친환경농자재 생산 등 3년 동안의 유기농업 노하우가 담긴 매뉴얼을 작성해야 하며, 작성된 매뉴얼은 경북도 농업기술원 유기농업연구소의 실효성 검증을 거친 뒤 농가에 보급된다. 지난 2015년까지 사과와 배, 복숭아 등 11개 품목 16농가의 매뉴얼이 완성됐고, 올해는 8개 시군에 있는 11농가의 매뉴얼 작성지도를 만들어 보급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유기농업 자재 지원도 주력하고 있다. 친환경 농업인에게 유기농업 자재를 지원해 경영비 부담을 줄여주고, 땅심을 증진하고 농약과 화학비료 사용을 줄여 친환경 농업의 성장 토대를 만들어 간다는 주장이다. 경북도는 올해 1천409ha를 대상으로 16억8천만원을 투입하게 된다. 유기농자재는 천적이나 미생물제제 및 자재 원료 등으로 공시 제품을 지원하고, 녹비작물은 사업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친환경 농업 실천 의지와 녹비재배 필요성이 높은 농업인에게 우선순위를 두고 지원해 나가고 있다.

 친환경 농산물도 잘 팔려야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경북도를 이를 위해 친환경 농산물의 소비자 직거래 활성화를 위한 택배비를 지원해 농가의 부담을 덜고 소비자 신뢰를 높이는 ‘두 마리 토끼몰이’에 적극 나서고 있다. 도비와 시군비를 포함한 16억원을 투입, 친환경 농산물의 주요 유통체계인 택배를 통해 올해 32만 건을 지원하는 등 직거래 활성화에 비지땀을 흘리고 있다. 지원 단가는 건당 5천원으로, 가공품의 경우 쌀과 고춧가루 등 1차 가공품에 한해 택배비를 지원하되, 식초와 고추장 등 완제품은 지원하지 않고 있다.

 과수 농업의 허브인 전북은 그 특성상 과수 고품질을 위한 시설현대화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FTA 등 농산물 시장개방 확대에 따라 고품질 과수의 안정적 생산기반이 중요해지고 있다. 경북도는 이를 위해 올해만 20개 시군에 484억원의 막대한 예산을 투입, 과수의 품종갱신과 관수시설, 비가림, 재해예방시설 등 17개 세부사업을 대대적으로 추진한다는 청사진이다. 결국, 경북도의 선진농업 비법은 친환경 농업 기반 확대와 6차 산업화 촉진, 원예·특작시설 현대화를 통해 경쟁력 강화 등 친환경 맞춤형 시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해 나가는 데 있었다.
  
 

 <안영식 경북도청 친환경농업정책담당> “우리 도의 농업정책은 더불어 함께 잘사는 농업·농촌 기반을 구축하고, 소비자 중심의 고효율 친환경농업을 구현하는 것입니다. 살고 싶고, 가고 싶은, 행복한 농촌환경을 조성하고 신성장 산업 육성으로 안정적인 축산업을 육성하는 것입니다.”

 안영식 경북도청 친환경농업정책담당의 말엔 힘이 들어가 있었다. 안 담당은 “개별농가의 한계를 극복하고 공동 소득창출 시스템을 조기에 정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새로운 소득원 확충을 위한 6차 산업화 촉진에도 혼신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북은 과수 1위이다. 사과와 배, 포도 등 과수농의 어느 한 쪽에 집중하지 않고, 다양한 품목을 초일류로 육성하려 노력하고 있다”며 “과수에 한우, 특용작물 등 복합영농을 확대 추진해 농가들의 소득을 높이는 게 궁극의 목표”라고 설명했다.

 복합영농을 하다보니 농번기가 분산돼 있고, 작목이 다양해 인력도 연중으로 필요하게 된다. 고소득과 특용작물, 저렴한 땅값 등 3박자가 맞아떨어져 귀농 1번지로 자리 잡았다고 안 담당은 힘주어 말했다. “수도권과 1~2시간 떨어져 있다는 접근성도 한 몫 하고 있습니다. 농산물 수출에도 주력한 결과 경북통상은 흑자로 돌아섰고, 최근엔 직원까지 신규채용했습니다.”

 박기홍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