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 욕구에 노출된 전북도정
변화 욕구에 노출된 전북도정
  • 박기홍 기자
  • 승인 2016.06.20 14: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선 6기 2년, 전북의 성과와 과제 <2>

 전북정치의 스펙트럼은 넓지 않았다. 더민주와 그 전신이 정치적 기반을 독식해 왔다. 다른 정당과 정파가 파고들 틈이 없는 독주는 음양의 교차를 낳았다. 전북 정치가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며 난관을 극복하는 빛이 강할수록 다른 당의 공격을 받는 그림자도 짙었다. 정치적 스펙트럼을 넓혀야 한다는 여론도 스멀스멀 피어올랐다. 다양성을 추구하는 여론이 표심에 투영된 시점을 정확히 말하긴 어렵다. 하지만 2년 전인 2014년 6월의 지방선거가 하나의 분수령이었다는 점엔 누구나 어느 정도 수긍한다.

 더민주의 전신인 새정치민주연합은 당시 이기고도 참패했다. 전북교육감을 제외한 기초단체장과 지방의회 통틀어 250석 중 181석을 차지, 72.4% 석권이란 성적표를 얻었다. 당시 각종 여론조사에 새정치연합의 정당 지지율이 50~60%였던 점과 비교하면 ‘아주 괜찮은’ 점수였지만 지방선거의 꽃인 기초단체장 선거에서 민심의 역풍을 맞아 14석 중 절반을 무소속에 내줬다. 그 상처가 얼마나 컸던지, 이춘석 도당위원장은 선거 다음날 중앙당에 사퇴서를 제출했다. 내부갈등과 불협화음으로 도민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게 사표의 변이었다.

 내부갈등도 문제지만 ‘독주에 대한 경고장’을 준비하는 도내 유권자의 표심을 정확히 읽지 못했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새정치연합의 전통적 지지층인 50대 이상 장노년층은 지난 2012년 대선 이후 변하지 않는 기득권 정치지형에 피로감을 느끼고 있었다. 한 번쯤 충격을 줘야 할 시점이란 공감대가 형성됐고, 지난 지방선거에서 5060세대가 등을 돌리며 새정치연합 후보가 전북의 동부전선에서 추풍낙엽처럼 우수수 쓰러졌다는 분석이다.

 민심이반은 생각보다 더 무섭게 다가왔다. ‘민주당 공천만 받으면 만사 OK!’라는 등식이 2014년 지방선거에서 깨졌다면 2016년 20대 총선에선 “이제 누구에게도 텃밭은 없다”는 새로운 방정식이 성립됐다. 창당 수십 년 지난 더민주의 후보가 기껏 창당 3개월 된 국민의당 후보에 선거구의 7할을 내줬고, 심지어 새누리당도 1석을 확보하는 초유의 3당 체제를 구축하게 된 셈이다.

 총선의 결과는 여러 변수의 함축된 결과다. 더민주의 오만함과 공천 논란, 호남의 변화와 국민의당 선택 등 여러 변수가 농축돼 7(국민의당)대 2(더민주)대 1(새누리당)의 삼국지를 그려냈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정파 간 경쟁체제를 도입해 전북정치의 실리를 추구해야 한다는 전략적 표심을 확인할 수 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전북을 텃밭으로 둔 더민주 후보가 얻은 표를 합산하면 국민의당 후보의 것보다 더 많다”며 “그럼에도 더민주가 참패한 것은 새로운 대안을 물색해 변화를 추구하겠다는 민의가 숨어 있다”고 분석했다.

 새누리당 1석 안배는 “정치적 다양성을 통해 실익을 얻어내겠다”는 민심의 완성점이다. 정운천 의원(전주을)의 노력과 실력에 “그래, 한번 기회를 주자!”는 민심이 뒤엉켜 ‘황금의 1석’을 새누리당이 차지했다는 분석이다. 여(與)와 야(野)의 ‘균형과 견제’를 통해 현안을 해결하고 국가 예산도 더 많이 끌어와야 한다는 표심이 전북의 정치지도를 새롭게 그려냈다.

 이는 전북정치를 장악한 국민의당에 무거운 책임을 지워준다. 전북 국민의당이 20대 국회 전반기 2년을 오만과 독선으로 채색한다면 다시 심판을 받을 것이란 준엄한 경고의 메시지가 들린다. 상공업계의 한 관계자는 “전북정치 역사상 초유의 3당 체제를 개막한 민의(民意)는 정당 간 경쟁과 협력을 통해 전북을 잘 사는 동네로 만들어 달라는 간절한 소망”이라며 “협력정치를 통해 내년도 국가 예산 등 현안부터 하나씩 슬기롭게 풀어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기홍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