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와 행정, 청년에 관심 줘야
정치와 행정, 청년에 관심 줘야
  • 박기홍 기자
  • 승인 2016.06.01 16: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의 2030세대, 그들의 분노와 희망 <완>

 2030세대의 도전을 응원하기 위해선 정치와 행정도 기존의 판을 깨야 하고, 청년들도 인식의 변화를 통해 알토란 같은 전북 중소기업에 관심을 둬야 한다. 정치권은 전북 20대와 30대의 투표율이 낮다는 이유로 평소엔 ‘소가 닭쳐다 보듯’ 하다 선거 때만 되면 대학교로 달려가는 구태의 판을 깨야 한다.

 과거를 반복하면 지난 총선에서 청심(靑心)이 분노해 투표장으로 달려간 청년의 심판도 되풀이될 것이라는 청년들의 경고다. 20대의 한 대학생은 “더민주와 국민의당 등 여야 3당이 청년투표에 공을 들이면서도 정작 공약에 ‘청년’이란 단어를 쏙 뺐다”며 “정치가 대학등록금 문제 외에 지속적으로 청년 문제에 관심을 두고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북도와 일선 시·군도 절망과 좌절, 낙담에 빠져 있는 지방의 청년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줄 수 있는 정책을 다양화해야 한다. 전북의 인구가 매년 수천 명씩 줄어들고, 그 원인이 수도권 취업을 위한 2030세대의 엑소더스에 있다는 지적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하지만 기존의 청년 정책은 창업 독려나 中企 채용 장려금 정도로, 긴 호흡을 갖고 청년의 입장에서 세밀하게 지원하는 시책은 아쉬움만 더해주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런 측면에서 전북도가 올해 1회 추경에 1억원을 편성해 ‘청년 종합 실태조사’에 착수하겠다는 방침은 기대와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건강한 전북의 내일을 위해선 오늘의 20대와 30대의 고뇌와 분노, 눈물을 파악해야 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는 시도라는 주장이다. 전북대 출신의 P씨(34)는 “입사지원서를 넣어도 대답없는 메아리를 경험한 지방대 출신의 절망은 수도권 대학 졸업자보다 2~3배 이상 깊고 넓다”며 “지방대 출신을 두세 수 낮춰 보는 현행 대기업 채용 시스템의 문제도 실태조사를 통해 밝혀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정치와 행정도 변해야 하지만 청년층의 인식도 바뀌어야 한다. 전북대 산학협력단은 최근 도내 대학생 383명을 대상으로 직접 면접조사를 통해 일자리 선호도와 중소기업 인식 등을 조사했다. 그 결과 응답자의 8.7%만 “무조건 중소기업에 취업할 의향이 있다”고 말했고, 31.9%는 취업을 희망하는 지역으로 서울과 경기도를 꼽았다. 지방대 출신의 수도권과 대기업 지향의 취업관은 임금과 복지, 기회 등을 고려할 때 일면 이해할 수 있지만, 그 정도가 심하다는 점에서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전북에도 실력이 뛰어난 중소기업이 적잖다. 향토기업에서 희망을 찾아야 한다. 전북테크노파크가 전북기업 현장 견학을 추진한 후 대학생 1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는 의미심장하다. 2년 전의 통계이지만 응답자의 무려 67.0%가 “전북기업 탐방 후에 ‘보통’이란 인식이 ‘긍정’으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탐방 후에 전북 기업에 대한 취업의사가 긍정적으로 바뀌었느냐는 질문에도 “그렇다”고 말한 대학생이 절반 이상(51.0%)이었다.

 대기업이 가뭄에 콩 나듯 하고, 민간시장 영역이 너무 협소하다 보니 전북 청년들은 창업에 매우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같은 면접 조사에 따르면 대학을 졸업한 후 창업을 고려해 본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33.9%만 “그렇다”고 답했을 뿐이다. 전북의 대학생 3명 중 1명꼴로 “창업 의향이 없다”고 말하는 전북, 이런 분위기라면 청년의 도전은 설 땅을 잃게 된다. 창업 의향이 없는 이유도 “아예 생각하지 않았다(40.8%)”라거나 “실패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22.6%)”이 주류를 형성했다. 정원탁 전북중소기업청장은 “기존의 틀을 깨야 새로운 길이 보인다. 패배의식을 극복하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회복해야 한다”며 “여러 가능성을 타진하고 모험과 도전을 즐기는 청년의 열정이야말로 우리 사회를 바꾸는 에너지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박기홍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