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위한 공약 전무, 정치의 청년 무관심
청년위한 공약 전무, 정치의 청년 무관심
  • 박기홍 기자
  • 승인 2016.05.26 16: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의 2030세대, 그들의 분노와 희망 <3>

 전북의 2030세대를 표현하는 수식어엔 ‘정치에 무관심하고, 스펙 쌓기에만 몰두한다’는 말이 있다. 이들의 투표율은 그동안 30~40%에 머물렀고, 인구 점유율도 낮아지고 있다. 도내 청년층(15~29세) 인구 비율은 올 3월 기준 18.3%로, 10년 전인 2007년 말의 20.2%에 비해 1.9%포인트 뚝 떨어졌다. 표를 계산하는 정치권이 청년공약에 상대적으로 무관심했던 이유다.

 과연 20대 총선의 전북 청년공약은 어떠할까? 전북도민일보는 새누리당과 더민주, 국민의당 등 3당의 전북 공약집을 토대로 직접 분석해 보았다. 우선 새누리당 전북도당. 새만금 한·중 경협 지원과 탄소산업 집중 육성 등 5개를 내걸었지만 청년을 향한 공약은 찾기 어려웠다. 더민주 전북도당은 500조원 금융도시 조성 등 7대 분류 굵직한 공약을 발표했지만 ‘사람 중심의 복지 전북’이란 대분류의 7개 세부 사업에 청년 일자리 창출과 청년고용의무할당제 도입을 끼워넣었다. 31개 세부 사업 중 사회적경제 대학 지정을 통한 ‘전문인력 양성’까지 포함한다 해도 2~3개 정도가 청년을 타깃으로 했다.

 지난 총선에서 전북 10석 중 7석을 석권한 국민의당 전북도당은 문화관광과 농업, 여성복지 등 11개 대분류로 나누고 52개 세부 사업을 제시했다. 이 중에서 청년을 위한 공약은 청년 희망주택 보급, 청년 창작활동 지원, 청년창업특구 조성, 크라우드 펀딩 활용한 청년고용 시스템 확립, 청소년 직업체험관 설립, 청소년 희망키움 지원센터 건립 등 6개로 분석됐다.

 단순 분류의 맹점이 있다고 판단, 이번엔 공약집에 ‘청년’이란 어휘가 얼마나 들어 있는지 직접 파악해 보았다. 이는 청년에 대한 각 당의 관심과 의지를 측정할 수 있는 간접지표라는 생각에서다. 6쪽의 새누리당 전북공약집에는 단 한 차례도 언급하지 않았고, 36쪽의 더민주 전북공약엔 8번 삽입했다. 27쪽의 국민의당 전북공약 책자에는 ‘청년’이란 단어가 24번 눈에 띄었다.

 단어 하나 구사했다고 청년공약이라 말하기엔 분명한 한계가 있다. 새누리당의 금융타운 조성 공약이나 탄소산업 육성도 광의적으로 보면 청년 일자리 창출과 무관치 않다. 더민주의 금융전문가 양성기관 설립이나 문화 실크로드 9000, 한반도 부엌 전북, 21세기 신소재산업 육성 등도 청년 창업이나 취업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공업계의 한 관계자는 “공약집에 쓰는 단어 하나하나가 어느 세대를 염두에 둔 것인지 방향성이 녹아있다고 봐야 한다”며 “이렇게 보면 2030세대를 겨냥한 직접적 언급이 적다는 것은 아쉬운 대목”이라고 말했다.

 ‘정치의식 약한 세대’로 규정하는 담론에 맞서 2030세대가 지난 20대 총선에서 대거 투표장으로 몰려간 것은 정치 침묵을 깬 분노의 표출이란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전북도가 최근 발표한 ‘2015년 사회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전북의 20대는 일자리 창출을 위해 ‘기업유치와 향토기업 육성(48.7%)’, ‘직업훈련 및 인력양성 강화(19.0%)’ ‘취업정보 제공 및 상담 강화(16.4%)’ 등을 희망하고 있다. 맞벌이를 하는 전북의 30대는 일·가정 양립의 장애요인으로 ‘자녀 양육부담(45.7%)’과 ‘가사 부담(23.2%)’, ‘가족과의 시간 부족(21.7%)’ 등을 하소연하고 있다. 이들의 외침에, 정치가 답하지 않으면 분노는 더 커질 수밖에 없다.

 박기홍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