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과 지방 소통
대통령과 지방 소통
  • 청와대=소인섭 기자
  • 승인 2016.04.25 17: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26일 청와대로 중앙언론사 편집·보도국장을 초청해 오찬을 함께 했다. 국정 최고책임자와 권력을 감시하는 언론 간 소통이 재개된 셈이다. 박 대통령이 그동안 ‘불통의 정치’라는 비판을 정치권 안팎과 언론에서 받아왔다는 점에서 이와 같은 소통 행보가 박 대통령의 전방위적인 국정운영 스타일 변화로 이어질지는 큰 관심이다.

 박 대통령이 지난 18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민의를 겸허히 받들겠다”고 한 것이 총선 후 첫 메시지였다면 이번 행보 키워드는 민심 청취로 볼 수 있다. 총선 후 소통을 국내정치 첫 행보로 선택했다는 것은 앞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 면을 확대하고 국민의 뜻을 직접 듣는 기회를 만들겠다는 의미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민의 수렴”이란 총론에서 이제 각론으로 장을 넘겼다. 그러나 아직 방위각을 최대화한 것은 아니다. 20대 국회가 여소야대, 3당 체제로 재편되는 만큼 여당만 바라봤던 스타일을 야당으로 넓혀야 만 할 것이다.

 앞서 ‘언론과의 소통 재개’는 박 대통령이 2013년 7월 이후 3년 만이어서다. 취임 첫해 4월 언론사 편집·보도국장단 오찬, 5월 정치부장단 만찬간담회 및 출입기자단 오찬, 7월 논설실장 오찬 간담회를 한 바 있다. 그러나 문제는 모두 지방 언론사를 제외한 중앙언론사와의 반쪽 소통이란 점이다.

 정치는 ‘자원의 권위적 배분활동’이라고 했다. 정치학자 데이비드 이스튼(D. Easton)의 말이다. 사회의 다양한 인적·물적 자원들을 정당성을 부여받은 권위로 나누는 행위를 말함인데 중요한 것은 정치과정에서 누가, 누구를 위해 어떻게 자원을 배분하는가이다. 박 대통령의 입장에서 중앙언론사는 오히려 인적·물적 자원이다. 그것을 국민과의 매개역할에 활용할 가치 때문이다. 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취임 후 최저 수준인 29%(갤럽 조사)까지 떨어졌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번 박 대통령의 소통 노력은 국정을 추스르고 동력을 확보해야 할 측면서 언론과의 소통이 어느 때보다 중요할 것이다. 여기에서 박 대통령은 국민과의 매개에서 지방언론사를 제외했다. 인적·물적 자원으로 여기지 않는 시각이라면 큰일이다. 또 하나는 ‘자원의 권위적 배분활동’을 통해 지역을 돌아보라는 것이다. 부여받은 권위를 정당하게 행사해 달라는 뜻이다. 이같은 권위적 활동이 특정지역중심으로 나타나서는 안된다. 마치 소통의 면이 중앙언론사에만 향해 있어서 안 되는 것처럼 말이다.

 과거 정부에서는 중앙과 지방을 가리지 않았고 사장단·편집국장단과의 접촉을 게을리하지 않은 측면이 있었다. 민의를 듣기 위해서다.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 때는 활발했고 이명박 정권에서도 지방 편집·보도국장과의 접촉은 있었다.

 이번 간담회는 여당인 새누리당이 총선에서 참패하면서 국정 동력이 크게 떨어진 가운데 이뤄진 소통 행보라는데 의미가 있다. 하지만 지방 언론사와의 소통은 또 다른 의미를 갖는다는 점에서 중앙 언론사와의 소통에 그칠 일이 아니다.

 공공·노동·교육·금융·경제·통일 등을 포함한 25개 핵심개혁과제가 지역을 모두 담아내고 있지 않다 해도 지역 언론을 통해 지역의 소구를 받아들일 준비는 해야 할 것이다. 지방교육재정 혁신과 농수산업 발전 전략, 창조경제 뿐 아니라 중앙과 지방의 상생 발전 전략을 들려 주고 싶다. 비록 정당 지지세력이 약한 지역일지라도 지역 정서와 정치적 정서를 전달하고 인사 소외 현상을 직접 말하고 싶은 것이다.

청와대=소인섭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