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과 사고기법 4
창의성과 사고기법 4
  • 최한경
  • 승인 2016.01.07 17: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창의성이 뛰어난 사람은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못하거나 기이한 행동으로 따돌림을 당하여 소외감을 느낄 수 있다. 그렇지만 창의적인 사람이라고 해서 윤리와 도덕을 무시하고 제멋대로 행동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지난시간에는 창의성의 고전적 4P요소 중에서 창의적인 과정과 창의적인 산출물이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 오늘은 창의성의 고전적 4P요소 중 그 두 번째로 창의적인 사람(The creative person)에 대하여 좀 더 깊이 있게 알아보고자 한다.

3) 창의적 사람 (creative person)

Guilford(1950)가 미국 심리학회 연설에서 창의적인 사람들의 성격(person, personality)에 대한 연구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개인의 성격을 독특한 방식으로 정의했다.

“특성이란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비교적 지속적인 상태를 의미한다. 심리학자들은 특별히 개인이 어떤 성취를 할 때 나타나는 특성에 관심을 기울인다. 즉, 개인의 행동특성에 관심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행동특성이란 적성, 흥미, 태도 및 기질적인 요소와 관련이 있다”라고 했다.

Guilford(1960)는 창의성과 정적 상관이 있는 9가지 요인으로 다음과 같은 성격특성을 들고 있다.

① 사고의 유창성 ② 표현의 유창성 ③ 독창성 (Originality) ④ 자발적 융통성 ⑤ 자유에 대한 욕구 ⑥ 다양성의 욕구 ⑦ 충동성 ⑧ 모험심 ⑨ 심미적 표현의 관심

Barron(1953)이 추출한 창의적 성격 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 뚜렷하게 불균형적인 것을 좋아한다. ② 불균형과 동시에 복잡성을 강조한다. ③ 찾기 힘든 질서를 찾으려는 욕구가 강하다. ④ 독자적인 비판을 내린다. ⑤ 융통성 이 많다.

Mackinnon(1962)는 창의적 인간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14가지로 정의했다.

① 틀에 박힌 양식을 싫어한다. ② 지능이 보통이상이다. ③ 언어지각력이나 공간지각력이 높다. 두 가지 모두 높을 수도 있다. ④ 기억력이 뛰어나고 인생경험을 잘 활용한다. ⑤ 예리한 분별력과 관찰력이 있다. 즉, 창의적인 인간은 예민하고 주의 집중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생각을 정리하는데 능숙하여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잘 활용하며, 또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풍부한 정보를 갖고 있다. ⑥ 지능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창의력이 높은 것은 아니다. ⑦ 감정을 억압하고 억제하기보다는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편이다. ⑧ 경험에 대해 개방적이다. ⑨ 자신의 감정과 느낌에 대해 개방적이다. 여성적인 경향이 있는 편이다. ⑩ 어떤 일에 대해 판단하는 것보다는 감지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 ⑪ 지성과 감성을 잘 갖춘 사람이다. ⑫ 독립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 ⑬ 하찮은 것에 무관심하고, 중요한 것에 의미를 부여한다. ⑭ 복잡하고 도전할 만한 일을 좋아한다.

Barron과 Harrigton(1981)은 창의적인 사람들의 특성에 대해 15년간 연구 결과를 검토한 후에 창의적인 성취를 한 사람들은 에너지가 많고, 관심분야가 폭 넓고, 복잡한 것에 매력을 느끼고,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특성을 조절하는 능력, 창의적인 자아에 대한 확고한 신념들을 갖고 있다고 결론지었다.

Taylor(1961)는 창의적인 사람은 자율성, 자기충족, 판단의 독립성, 비합리적인 것에 대한 개방성, 안정성, 사교성, 비전통적 생활에 대한 관심, 흥미와 성격면에서 여성스러움, 충동성, 우월감과 독단성, 복잡한 인간성, 자기수용성, 풍부한 위트, 모험성, 과격성, 자아개념에 의한 자제력이 뛰어남, 감수성, 내향적인 성격과 동시에 용감함을 지니고 있다고 했다.

창의성이 뛰어난 사람은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못하거나 기이한 행동으로 따돌림을 당하여 소외감을 느낄 수 있다. 그렇지만 창의적인 사람이라고 해서 윤리와 도덕을 무시하고 제멋대로 행동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창의적인 사람들은 어떤 문제를 해결해 나가거나 작품을 구상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는 과정에서 전통적으로 생각하는 틀에서 벗어나서 특이한 사고를 한 즉, 문제를 해결하고 사물을 바라보는 시각이 남과 달라서, 기존의 틀을 깨고 새로운 방법을 찾기 위한 특성적인 면에서 남과 다른 특징적인 면이 있다고 한다.

 

 최한경 구이초 교사

  참고문헌

 ▷ 교육과 창의성 / 2005 / 김선 / 집문당

 ▷ 문정화·하종덕(1999). 또 하나의 교육 창의성. 서울: 학지사.

 ▷ 채선희, 2003,「창의성 교육의 필요성」

 ▷ 박병기(2002). 창의성교육의 기반. 서울: 교육과학사.

 ▷ 『새국어교육』(한국국어교육학회), 2001.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